(고)창비문학Ⅰ

II-5-[1] 형식과 표현

남촌 윤승식 2013. 1. 16. 08:39

 

김용준, ‘두꺼비 연적을 산 이야기

 

1. 작품 개관

갈래

수필

성격

사색적, 해학적,묘사적,주관적

문체

우유체,만연체

주제

두꺼비 연적이 주는 위안

특징

1) 두꺼비 여적에 대해 해학적으로 묘사함

2) 두꺼비 연적을 의인화함.

3) 수필 문학의 특성에 맞게 글쓴이의 개성이 잘 드러나 있음.

4) 대상에 대한 감각적, 인상적 묘사가 두드러진 작품.

5) 서화와 골동품을 사랑하고 풍류를 즐긴 화가의 삻이 잘 드러나 있음.

6)내용 전개 방법으로는 '묘사하기'가 두드러지며, 연적의 모습을 말하는 부분은 '전체에서 부분으로' 전개함.

 

2. 핵심 정리

 

1) 이 글의 개요 : 시간적 순서에 의한 구성

골동집에서 두꺼비 연적을 발견함.

1) 골동품 가게에 심심하면 들러서 한담을 하고 온다.

2) 하루는 골동품 가게 주인이 두꺼비 연적을 내놓았다.

두꺼비 연적을 구입함.

1) 어설픈 모양새의 두꺼비 연적을 감상한다.

2) 요즘 골동가들은 거져 준대도 안 가져갈 것을 사 왔다.

아내와 말다툼을 함.

글을 쓴 동기를 밝힘.

1) 연적을 사 온 것 때문에 아내와 싸움이 벌어졌다.

2) 글을 써서 연적을 산 돈을 벌겠다고 큰소리쳤다.

두꺼비 연적에 대한 애착을 드러냄.

1) 못생긴 연적을 보면서 그것과 비슷할 주인을 추측해본다.

2) 고독함을 위로해 주는 못생긴 두꺼비 연적을 사랑한다.

 

3.활동하기

 

3. 두꺼비 연적을 만든 사람을 조선 사람이라고 말한 이유

두꺼비 연적이 못나고 어리석어 보이는데, 이는 어리석고 못나고 속기 잘하는 조선 사람의 모습과 닮았기 때문이다.

 

4. 자신을 고독한 사람이라고 한 이유(258p. 4)

마음속의 울분을 호소할 길이 없는 이유를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 상황과 연결시켜 작가의 생각을 읽어 볼 수 있다. 즉 두꺼비 연적이 못생긴 모습은 일제 강점기하의 우리 민족의 모습을 연상시키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고 있고, 자신을 고독한 사람이라고 하고 있다.

 

루쉰, ‘어진 사람과 어리석은 자, 그리고 노비

 

1. 작품 개관

갈래

수필

성격

우의적

주제

노비의 노예 근성과 어진 사람의 기만성 풍자 및 성급한 어리석은 자의 비판

특징

등장 인물을 가리키는 명명법은 반어적 표현을 통해 나타냄.

 

2. 핵심 정리

 

1) 작품의 풍자 내용

인물

노비

어진 사람

어리석은 자

풍자 내용

노예 근성을 가진 수동적 존재

기만적인 지배층의 대리인

개혁가

전형적인 반개혁적 인물

부정적으로 볼 때, 민중의 동의를 구하지 못한 성급한 개혁자

 

2) ‘어리석은 자에 대한 명명법

 

어리석은 자는 노비가 자신의 열악한 상황을 직접 해결하지 못하는 것을 일깨워 주려고 했으며, 노예 근성에 헤어나지 못하는 노비를 위해 직접 행동을 실천했다. 이렇게 보면 어리석은 자는 긍정적 인물로서 어리석은 자의 명명법은 반어법이 된다. 하지만 노비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성급하게 과격한 행동을 한 점에서 보면 반어법이 아니다.

 

3. 감상의 길잡이

 

이 글은 당시 만연한 봉건적 잔재와 외세 등에 의해 형성된 반개혁적인 사회 세력을 대변하는 어진 사람의 기만성과 노비의 노예 근성을 신랄하게 풍자하면서 그들이 겉으로는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이나 궁극에는 대립적인 관계임을 말하고 있다. 또한 어리석은 자는 구사회를 파괴하고 개혁하려는 자로 보고 있으며, ‘어진 사람노비를 속이는 것과 다르게 구출해야 하는 대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어리석은 자노비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과격하게 옮기는 성급한 행동으로 비판 대상이 되기도 한다.

 

결국 이 글의 전체적인 흐름을 볼 때, ‘어진 사람의 명명은 반어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어진 사람노비가 만나 행복해 하는 결말을 통해 자신들의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어리석은 모습에 조소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전근대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그들의 우매함은 독자들에게 작가의 풍자 정신을 생각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현대 수필에서 중요한 표현 방법 중의 하나인 유머기지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4. 활동하기

 

1. 노비의 하소연에 대한 등장인물의 대응

노비가 어진 사람에게 한 하소연

어진 사람의 행동과 그 의미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으며 생활하는 노비의 삶을 하소연함.

말로 위로할 뿐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노비가 어리석은 자에게 한 하소연

어리석은 자의 행동과 그 의미

애완견보다 못한 대우를 받으며 지내는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함.

노비의 비참합을 해결해 주기 위해 담을 허물려고 하나, 노비의 동의를 구하거나 구체적 설명을 하지 않고 행동으로 옮겨 노비들에게 쫓겨난다. 결국 문제를 해결해 주려고 했으나, 아무런 도움이 못 되었다.

 

4. 이 작품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부분과 의미

마지막 부분의 어진 사람과 노비의 대화 장면에서 자신들의 상황을 잘 파악하지 못하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통해 독자에게 웃음을 유발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이들의 기만적 위선과 노예 근성을 풍자하고 있다.

 

'(고)창비문학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I-1-1 매체와 매체 자료  (0) 2013.01.16
II-5-[2] 발견과 성찰  (0) 2013.01.16
II-4-[2] 대사와 행동  (0) 2013.01.15
II-4-[1] 구성과 무대  (0) 2013.01.15
II-3-[3] 구성과 서술자  (0) 201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