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비문학Ⅰ

II-3-[3] 구성과 서술자

남촌 윤승식 2013. 1. 14. 22:42

 

조세희, ‘뫼비우스의 띠

 

1. 작품 개관

갈래

단편 소설, 액자 소설, 연작 소설

성격

비판적, 사실적, 현실 고발적, 상징적,우화적

배경

1970년대 서울의 재개발 지역

시점

외부:이야기: 3인칭관찰자 시점

내부 이야기: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산업화의 진행 과정에서 인간의 가치가 소외되는 사회 현실, 사물에 대한 고정 관념 경고

특징

1) 액자식 구성을 취함.

2)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넘나들며 사건을 전개함.

3) 외부 이야기의 도입 부분에서 우화적 기법을 활용하고 있음.

4) 짧고 간결한 문체를 사용하고 있음.

5) 주제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음.

6)우화를 인용하여 의도하는 바를 간접적으로 드러냄.

 

2. 핵심 정리

 

1) 작품의 전체적인 구조

 

< 외부 이야기>

 

 

 

 

문제 제기

현실 적용(내부 이야기)

주제 의식

교사의 강의: 굴뚝 청소 이야기

곱추와 앉은뱅이 이야기

교사의 정리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인식

피해자와 가해자를 알 수 없는 왜곡된 현실

지식의 올바른 사용과 사물에 대한 옳은 인식

 

 

 

3.감상의 길잡이

 

해제 : 1976년 발표한 조세희의 단편 소설로,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의 연작 12편 가운데 하나이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난장이와 마찬가지로 앉은뱅이꼽추를 등장시켜 근대화 과정 속에서 소외당하는 철거민의 비참한 상황을 담아내고 있다. 특히 수학 교사의 뫼비우스의 띠이야기가 작품 앞뒤로 배치되는 이원적인 이야기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 뫼비우스의 띠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으로 인해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전락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상징하고 있다.

 

주제 : 철거민의 비참한 삶을 통해 본 사회적 모순과 그에 대한 비판

 

줄거리 : 첫 번째 이야기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안과 밖을 구별할 수 없는 뫼비우스의 띠에 대해 이야기한다. 두 번째 이야기는 가난한 철거민인 앉은뱅이와 꼽추의 이야기이다. 그들은 집이 철거당한 뒤 자신들의 입주권을 부동산 업자에게 속아 헐값으로 팔아넘긴다. 속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그들은 부동산 업자를 찾아가 사기 당한 몫을 되찾고 불을 질러 그를 죽여 버린다. 꼽추는 후회와 두려움을 느끼고 앉은뱅이 곁을 떠난다.

 

인물 분석 : 수학교사 학생들에게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고자 뫼비우스 띠이야기를 들려 준다. 앉은뱅이 집이 철거당하고 입주권을 파는 과정에서 부동산 업자로부터 사기를 당한다. 이후 빼앗긴 돈을 돌려받기 위해 부동산 업자를 납치하여 목적을 달성한 뒤, 차와 함께 불태워 버린다. 꼽추 사기당한 돈을 되찾기 위해 앉은뱅이와 함께 행동에 나선다. 그러나 사람을 불태워 죽이는 앉은뱅이의 행동에 두려움을 느끼며 그를 떠난다.

 

배경 분석 : 197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산업화가 진행되던 시기였다. 이 시대에 새롭게 떠오른 노동자 계층은 근대화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한 채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 판자촌을 형성하게 된다. 이 작품은 이러한 산업화 시대의 소외 지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도시화의 물결은 변두리조차 가만 내버려 두지 않고 철거를 통해 도시의 외양을 새로이 꾸며 나간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 변두리 철거 마을은 소외된 빈민들의 삶 그 자체를 대변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4. 활동하기

 

1. 수학 교사가 말하고자 하는 바

굴뚝 청소를 한 두 소년의 이야기는 일방적인 시선과 관점의 위험성을 알려 준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관점으로 사물을 바라보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수학 교사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의 중요성을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2) ‘뫼비우스의 띠의 상징성

일반적인 의미

안쪽과 바깥쪽이 구별되지 않는 단측 곡면

외부 이야기와 관련

사물에 대한 고정 관념이나, 흑백 논리가 잘못되었을 수도 있음을 알려 줌.

가해와 피해의 양면성

앉은뱅이와 꼽추가 가해자일 수 있으며, 부동산업자가 가해자일 수도 있는 양면성을 지님.

독자의 반응

바깥과 안 이야기의 상황을 통해 독자들이 갖고 있는 고정 관념이나 선입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음.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

 

1. 작품 개관

갈래

장편 소설

성격

체험적, 사실적, 고백적, 회고적

배경

2007년 서울

시점

2인칭 시점

주제

잃어버린 엄마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

특징

1)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소설의 서술자를 로 객관화하여 표현함.

2) 각 장이 딸, 큰아들, 남편, 엄마의 시점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음.

3) 섬세하고 감성적인 문체를 바탕으로 인물들의 심리를 담담하게 표현함.

4)짧은 문장을 자주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충분한 생각을 할 수 있게 함.

 

2. 핵심 정리

 

1) 이 글에 사용된 시점

이 글은 제3의 서술자가 2인칭 를 내세워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드러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딸인 와 아들, 남편의 시선으로 엄마아내를 서술하는 방식이 이어지고, 엄마와 딸의 시선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다양한 시각에서 엄마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더불어 전통적 시점과는 다른 시점으로 주인공의 심리를 묘사하여 독자와 서술자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 가족들과 어머니의 관계

갈래

장편 소설

성격

체험적, 사실적, 고백적, 회고적

배경

2007년 서울

시점

2인칭 시점

주제

잃어버린 엄마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

특징

1)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소설의 서술자를 로 객관화하여 표현함.

2) 각 장이 딸, 큰아들, 남편, 엄마의 시점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음.

3) 섬세하고 감성적인 문체를 바탕으로 인물들의 심리를 담담하게 표현함.

4)짧은 문장을 자주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충분한 생각을 할 수 있게 함.

 

3.감상의 기잡이

엄마의 실종

가족들이 엄마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됨

가족 관계의 회복

 

4.활동하기

 

3. ‘프릴 다린 원피스때에 전 수건의 해석

프릴 달린 원피스: 엄마도 여자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소재이다. 소녀 같은 마음을 간직하고 있지만 가족들을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드러내지 않고 살아온 모습이 드러난다.

때에 전 수건: 엄마의 현재 모습을 상징한다. 항상 집안일로 힘겨운 삶을 살았던 엄마의 땀과 눈물을 의미한다.

 

4. 2인칭으로 등장하는 의 정체와 역할

이 소설에서 는 엄마의 딸이다.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소설의 서술자를 로 표현한 것은 서술자의 감정과 상황을 객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통적인 시점과 다른 방식인 2인칭 시점은 서술자를 참신하고 낯설게 느끼게 한다.

 

'(고)창비문학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4-[2] 대사와 행동  (0) 2013.01.15
II-4-[1] 구성과 무대  (0) 2013.01.15
II-3-[2] 사건과 배경  (0) 2013.01.13
II-3-[1] 인물과 갈등  (0) 2013.01.11
II-2-[3] 상징과 현실  (0) 201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