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비문학Ⅰ

II-3-[2] 사건과 배경

남촌 윤승식 2013. 1. 13. 22:38

  프란츠 카프카, ‘변신

 

1. 작품 개관

갈래

실존주의 소설

성격

우의적, 비판적, 상징적,실존주의적

배경

시간:현대 공간:그레고르의 집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소외된 인간의 고독과 허무

특징

1) 의인화된 벌레를 등장시킨 우화(寓話)의 형식을 띠고 있음.

2) 기이한 사건들을 예사로운 일처럼 묘사하는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임.

3) 객관적 관찰에 의한 직설적 서술이 거의 없고 그레고르가 보고 느낀 것이 내적 독백 형식으로 표현됨

4)변신모티프를 사용하여 인간의 소외 비판

 

2. 핵심 정리

 

1) 변신 모티프와 변신

: 모티프란 표현의 동기가 되는 중심적인 사상을 가리키는 말로, 여러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특정한 이야기 요소를 지칭한다. 그중 변신 모티프는 인간이 동물이나 사물로 변화하는 것으로, 신화나 민담을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서사물들에 널리 퍼져 있다. ‘변신에는 주인공이 어느 날 벌레로 변하게 되는 모티프가 나타난다. 이는 인간 사회의 불합리한 면을 인간이 아닌 존재를 통해 부각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다.

 

2) 변신 전후의 변화(학습활동 185p. 2번과 관련)

변신 전(인간)

변신

변신 후(벌레)

1)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며 정상적인 가족 관계를 유지함.

2) 소통, 관계, 따뜻함

인간 소외, 부조리한 현실 상징

1)쓸모없는 존재가 되어 가족으로부터 소외되며 구박받음.

2) 단절, 무관심, 냉대

 

3.활동하기

 

3. 작품이 시작되는 사건의 의미

어느 날 아침, 주인공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신하는 충격적인 사건으로 시작되는 데, 이 사건을 통해 이 소설은 인간의 존재 의미를 묻고 있다. 평범한 외판원으로 한 집안의 가장 역할을 하는 아들이자 오빠인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신하면서 자신이 어떤 존재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채만식, ‘치숙(痴叔)’

 

1. 작품 개관

갈래

단편 소설, 풍자 소설

성격

풍자적, 비판적

문체

반어적 대화체,경어체

배경

일제 강점기 서울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주제

일제 식민 통치에 순응하는 와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아저씨의 갈등

특징

1) 속어나 비어 등을 많이 사용하여 사실성을 높임.

2) 판소리 사설 같은 독백체와 대화체를 통해 인물 간의 의식의 괴리를 드러내고 풍자의 성격을 심화함.

3) 칭찬과 비난을 역전시키는 기법을 통해 긍정적인 인물로 를 부정하여 주제를 강조함.

 

2. 핵심 정리

 

1) 이 글의 서술 방식

 

- ‘칭찬-비난의 역전기법: 표면상 긍정적 인물로 내세운 에 대한 칭찬’, 풍자의 대상이던 아저씨를 향한 비난을 결말에 가서 역전시킴으로써 칭찬과 비난의 전도가 일어난다. 그리고 그것은 사상의 자유로운 토론을 금지하는 일제의 강압 통치에 대한 조롱과 일제의 우민화 정책에 대한 비판에까지 이르게 된다.

 

- 독백체와 대화체 : 전반부에서 는 독백의 형식으로 자신의 가치관, 인생관 등을 보여 주는데, 이를 통하여 작가는 를 긍정하면서도 실상은 를 비판하고 있다. 또한 후반부는 설명이나 해설 없이 오로지 아저씨의 대화만 보여 줌으로써 인물에 대한 비판 의식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서술 전략은 이 작품의 풍자적 성격을 드러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3. 짜임

 

    발단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옥살이를 하고 폐병에 걸려서 앓아 누워 있는 오촌 고모부 아저씨 소개.

 

    전개: 아주머니의 고생담과 ''의 성장 과정.

 

   위기 : 철저히 일본인으로 동화되어 살아가겠다고 생각하는 ''.

 

   절정 : ''와 아저씨의 대립.

 

   결말 : 아저씨에 대한 ''의 실망

 

4.감상

1936<동아일보>에 연재된 단편 소설. 일본인 상점의 점원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가 사회주의 운동을 한 후 생활고에 빠진 숙부를 조롱하고 비판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부정적 인간이 긍정적 인간을 조롱비판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이중(二重)의 풍자성을 지니고 있다.

 

<치숙>1인칭 주인공인 소년이 혼자서 이야기를 지껄이는 형식으로 일관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일본 군국주의가 우리 나라를 식민지로 점령하여 경제적 수탈과 정치적문화적 탄압을 서슴지 않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자조와 비판을 바탕으로 사회에 대한 풍자를 주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칭찬­비난의 역전 기법'으로 사상의 자유로운 토론을 금지하는 일제의 강압 통치를 조롱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

 

이 소설은 이중의 풍자성을 지닌다고 했는데, 이 말은 풍자하는 주체와 풍자되는 대상을 함께 조롱한다는 의미이다. , 소설 <치숙>은 표면상으로는 긍정적인 인물로 ''를 내세웠지만, 사실은 현실에 야합하는 ''를 부정하고 있다. 그러나 ''의 논리를 명쾌하게 반박하지 못하는 '아저씨'의 한계도 지적하고 있다.

 

작가는 ''에 대한 칭찬과 '아저씨'를 향한 비난을 결말에 가서 상호 역전시키는 방식으로 자신의 세계관을 피력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주의자인 '아저씨'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나서지는 않고 있다.

 

이 작품은 사회주의 이상을 철저히 추구하지 못하는 '아저씨'와 한 소년을 철저하게 우민화(愚民化)시키는 일제(日帝)를 동시에 부정함으로써 결국 모든 것을 부정하는 수준으로 수렴되고 있다. 그러한 풍자의 이야기 속에서 결국 최종적인 판단은 독자가 내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5.활동하기

 

1. 인물 파악

 

아저씨

시대적 배경

일제 강점기

추구하는 것

십만 원을 모아 내지인과 결혼하여 내지인처럼 사는 것

사회주의가 실현된 세상

학력

소학교 중퇴(4)

대학교 졸업

직업

가게 점원(고소, 반또)

없음.

 

'(고)창비문학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4-[1] 구성과 무대  (0) 2013.01.15
II-3-[3] 구성과 서술자  (0) 2013.01.14
II-3-[1] 인물과 갈등  (0) 2013.01.11
II-2-[3] 상징과 현실  (0) 2013.01.10
II-2-[2] 운율과 심상  (0) 2013.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