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비문학Ⅱ

II-4-[1] 조선 후기의 한국 문학

남촌 윤승식 2013. 1. 3. 12:23

이정신, ‘가버슨 아해~’(교과서 144p)

 

  1. 작품 개관

갈래

사설시조

성격

풍자적

주제

서로 음해하는 세태에 대한 풍자

특징

약육강식의 각박한 세태를 해학적으로 풍자하고 있음.

 

  2. 핵심 정리

 

         작품 감상

: 이 작품은 아이들이 잠자리를 잡는 모습을 통해 남을 모해하는 각박한 세태를 풍자하고 있다. ‘가버슨 아해는 모해하는 자를, ‘가숭이는     모해 받는 자를 의미하는 데, ‘가버슨 아해들 즉 가숭이들이 감언이설(甘言利說)가숭이(고추잠자리)를 잡는 역설적 상황은 모해하는 자가 결국 모해 받는 자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3.활동하기

가숭이는 중의적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두 가지 의미를 말해 보자.

: ‘가숭이벌거벗은 아이고추잠자리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풍자하고 있는 세태의 모습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가숭이(벌거숭이 아이들)’가숭이(고추잠자리)’를 잡는 서로 믿을 수 없는 약육강식의 각박한 세태를 해학적으로 풍자하고 있다.

 

지은이 모름, ‘님이 오마 ~’(교과서 144p)

 

   1. 작품 개관

갈래

사설시조

성격

해학적, 과장적

주제

임을 기다리는 애타는 마음

특징

임을 빨리 만나고 싶어 하는 마음을 솔직하고 소박한 표현을 통해 드러냄.

 

   2. 핵심 정리

 

   1) 다양한 표현과 그 효과

표현

효과

과장법, 열거법

화자가 거머흿들을 보고 허둥지둥 달려가는 다급한 모습을 부각함.

의성어, 의태어

임을 애타게 기다리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강조하고 생동감과 해학적 분위기를 고조함.

반어법

표면적으로 살뜰하게 나를 속였다는 말이지만 이면적으로는 얄밉게도 나를 속였다는 의미로서, ‘주추리 삼대에 대한 원망을 표현함.

 

   3.활동하기

 

  이 작품이 독자에게 웃음을 유발하는 이유를 말해 보자.

: 이 작품은 임을 보고 싶은 화자의 마음을 해학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중장에서 임이 오신다는 소식에 허둥대는 화자의 모습을 표현함으로써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임에 대한 그리움에 뛰어나온 화자는 저 멀리 보이는 것이 임이 아니라 주추리 삼대임을 깨닫고 겸연쩍어하고 있다. 이러한 화자의 모습에서 해학성을 느낄 수 있으며, 임을 보고 싶어하는 간절한 감정이 솔직하게 드러난다.

 

  ⑵ 이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정서를 말해 보자.

: 임에 대한 절실한 그리움이 나타나 있다.

 

 

김소희 창, ‘춘향가’(교과서 146p)

 

     1)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봉건적인 조선 사회에서 신분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과 억압적인 지배 계층에 대한 서민들의 항거를 다루고 있는 판소리 사설이다. 작품의 주요 갈등은 이몽룡에 대한 절개를 지키려는 춘향과 자신의 신분을 악용하여 춘향에게 수청을 강요하는 변 사또와의 갈등으로, 이를 통해 계급 의식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이라는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나아가 춘향이 절개를 지키려는 것은 단순한 사랑의 성취를 넘어 기생 신분에서 벗어나 신분 상승을 이루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신분적 제약에서 벗어나 신분 상승을 성취하는 것은 이 작품의 이면적인 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면적인 주제는 조선 후기 민중 의식의 성장이 반영된 것이다.

 

 

     2.활동하기

 

1. 인물의 성격 

인물

인물의 성격이 드러나는 말

인물의 성격

이몽룡

여보게, 장모. 밥 있으면 거 한술 주소.

나는 볼일이 총총하니 내 밥이나 지어 두어라. 내일 아침에 가마.

능청스럽고 의뭉스런 성격임.

하고자 하는 일에는 치밀한 모습을 보임.

춘향

어머니, 그리 마오. 잘되어도 내 낭군, 못되어도 내 낭군.

지조와 절개를 지킴.

춘향 모

자네 줄 밥 있으면 내 속곳에다 풀해 입고 살겠네.

춘향 죽고 없네.

너의 서방 이몽룡 씨 비렁거지 되어 왔다.

직설적이고 말투가 거칠지만 자식에 대한 모성애가 강함.

향단

서방님, 마나님 말씀 노여 마시고 댁으로 가옵시다.

충직함.

 

박지원, ‘호질(虎叱)’(교과서 153-155p)

 

  1. 작품 개관

갈래

고전 소설, 한문 소설, 풍자 소설

성격

현실 비판적, 풍자적, 우의적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정나라 어느 고을

주제

양반의 허위의식에 대한 비판, 인간 사회의 부도덕성 비판

특징

1) 인간의 부정적 모습을 희화화함.

2) 등장 인물의 대화를 통해 주제를 전달함.

3) 호랑이를 의인화하여 지배층의 허위의식과 부도덕성을 풍자함.

 

  2. 핵심 정리

 

    1) 풍자의 대상이 되는 인물

    북곽선생 - 도덕과 인품이 높기로 유명한 북곽 선생이 수절을 잘하기로 평판이 난 동리자와 부정한 관계를 맺는 것과 그 과정에서 여우로 오인되어 도망치다가 똥구덩이에 빠진 것은, 군자인 체하던 그가 사실은 여우처럼 간교하고 똥처럼 더러운 인물이라는 의미이다.

 

: 동리자 - 동리자가 수절을 잘하기로 평판이 나 있지만 실상은 성이 다른 다섯 명의 아들이 있고, 북곽 선생과도 불륜을 저질렀다는 것은 세상의 평판만으로 사람을 평가할 수 없음을 풍자하려는 의도이다.

 

    2) ‘을 통한 현실 풍자의 의미

    이 작품에서 은 작가 의식을 대변하는 의인화된 인물이다. 작가는 범을 통해 북곽 선생으로 대변되는 당대의 위선적이고 부도덕한 선비 계층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한편으로 동물보다 못한 인간의 부도덕한 악행을 꼬집고 있다. 이처럼 의 입을 빌려 현실의 모순을 비판한 것은 당시 유교 사회에서는 직접적인 현실 비판이 받아들여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작가는 범을 통해 우회적으로 당대 지배층의 위선과 비도덕적인 모습을 풍자함으로써 유교 사회의 지탄도 받지 않고 작품의 묘미와 흥미까지 더하면서 신랄한 현실 비판의 목적도 달성하고 있는 것이다.

 

     3.활동하기

  1. 북곽 선생과 동리자의 인물 파악, 공통점

 

북곽 선생: 벼슬에 관심 없는 척하는 인물

동리자: 과부로서 절개를 지킨다고 다른 사람의 칭송을 듣지만 실제로는 성이 다른 아들이 다섯 명이나 있는 인물

공통점: 위선적이거나 가식적 행동을 일삼고 있음.

 

참1.hwp

 

참1.hwp
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