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해남윤씨 보록(譜錄)에 의하면 시조공(始祖公)은 성(姓)은 윤씨(尹氏)요, 휘(諱)는 존자부(存字富)라 하였고 그 재세(在世) 연대는 기록이 없어 확실하게 알 수는 없다. 고려 공민왕 4년에 부군(府君)께서 차자인 소윤공(少尹公)께 전(傳)하신 노비문서로 볼 때 그 팔대손(八代孫)이신 휘(諱) 광전(光琠)의 재세(在世) 연대가 고려 충렬왕(忠烈王)때부터 공민왕(恭愍王)때 사이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기준으로 추산(推算)해 보면 시조공(始祖公) 재세(在世) 연대는 고려 중엽 문종년대(文宗年代=11세기)라고 추정(推定)된다. 따라서 시조공 이하 6위(六位) 선조(先祖) 또한 이런 방법으로 재세(在世) 연대를 추정(推定)할 수 있다.
'해남윤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해남윤씨(海南尹氏)와 칠원윤씨(漆原尹氏)가 같은 조상 」이라는 문제 (0) | 2013.08.04 |
---|---|
9. 시조공(始祖公) 이하 칠세(七世) 선조(先祖)의 사적(事蹟)의 실전(失傳) 이유 (0) | 2013.08.04 |
7. 현재 세계 각국의 보학(譜學) 실태(實態) (0) | 2013.08.04 |
6. 우리나라 족보제도의 발전과정 (0) | 2013.08.04 |
5. 본관(本貫)의 의의(意義)와 변천과정(變遷課程) (0) | 201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