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과서현대시

문학교과서 현대시 (1920년대-향수)

남촌 윤승식 2014. 7. 29. 13:31

정지용-향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지절대는,수다스럽게 (의인법)

얼룩배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①느릿하고 어설프게.공감각적 심상(청각의 시각화)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설의와 반복을 통한 의미 강조(그리움). 피동의 표현은 외적인 현실과 조건(일제강점하)을 강조.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밤이 깊어지면(시간의 경과-촉각적 심상)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세찬 밤바람소리'(활유법), 방안의 안온한 정경 부각.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살포시 든 잠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에서 자란 내 마음 현실(고향의 땅)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립어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무한과 미지의 세계로 향한 유년시절의 꿈.(호기심)

풀섶 이슬에 함초름 휘적시던 곳, 모자람없이 알맞게 담뿍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傳說)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역동성(원관념:귀밑머리)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가난한 현실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별똥별이 지는 모습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가을 까마귀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거리는 곳 단란하고 정겨운 가족의 모습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1. 핵심정리

갈 래

자유시. 서정시

성 격

감각적. 묘사적. 향토적.회상적

심 상

고향에 대한 추억을 선명히 되살려 주는, 감각적이고 향토적인 심상

어 조

애틋한 어조

제 재

향수

주 제

향수(鄕愁)

구성

1

한가로운 고향 들판의 풍경 자연

2

고향집 저녘 방안의 겨울 풍경그리운 얼굴

3

꿈 많던 유년 시절의 회상그리운 얼굴

4

어린 누이와 아내에 대한 회상그리운 얼굴

5

단란한 농가의 모습 자연 + 그리운 얼굴

표현상의 특징

1) 감각적 이미지가 두드러짐. 참신하고 선명한 감각

2) 후렴구의 반복으로 이미지의 통일성을 확보하고 운율과 주제 부각,

3) 언어의 해조(諧調 잘 조화됨, 즐거운 가락)와 압축된 서정적 분위기토속적이고 원초적임.

 

2.정지용(鄭芝溶, 1902?)

충북 옥천 출생. 휘문고보 졸업, 일본 도지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 졸업. 귀국 후 휘문고보 영어 교사로 재직했으며 광복 후에는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50년에 한려수도를 여행 중 전란을 맞아 북한에 붙잡혀 행방 불명이 되었다. 동인지 요람(搖籃)을 발간하면서 <향수>, <슬픈 인상화>, <풍랑몽> 등을 발표했다. 시문학동인이었으며, 섬세하고 감각적인 시어와 선명한 이미지를 구사하여 1930년대 시의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첫 작품인 <카페 프란스>, <슬픈 인상화(印象畵)>, <파충류 동물> 등을 경도(京都, 유학생 잡지)학조(1926) 창간호에 발표했다. 첫 작품들은 다다이즘, 미래파 계열을 보였으나, 곧 선명한 객관적 즉물적 이미지를 중시하는 이미지즘으로 전향했다. 현실 인식, 망국 의식을 반영한 작품도 있고, 카톨릭 신앙을 나타낸 작품도 있으나, 이미지즘과 동양 고전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발표했다. 후기 시집인 백록담은 지성의 절제, 토착어의 순화, 선명하고 정확한 이미지 등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즘 경향의 작품집이다.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박남수 등을 문장지를 통해 추천하였고, 이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준 인물이다. 시집에 정지용 시집(1935), 백록담(白鹿潭)(1941) 등이 있다.

 

 

3.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널리 알려진 정지용 시인의 대표작 중의 하나이다. 이 시에서 우선 특징적인 것은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라는 후렴구인데 이는 이미지의 통일성과 아울러 한 연의 공간이 차지하는 시각적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한 이 시에는 실개천, 얼룩백이 황소, 질화로, 짚베개, 서리 까마귀 등 전통적이며 토속적인 어휘들이 많이 쓰여 독자로 하여금 유년기의 시절을 추억하게 하는 구실을 한다.

1연에서는 고향 마을을 둘러싼 자연적인 공간이 제시되고 있다.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란 것이 과거로의 몰입을 유도하며 어린 시절을 낭만적, 신비적으로 떠올리게끔 한다. 3, 4행서도 황소의 울음소리를 눈으로 볼 수 있게끔 시각화하면서 얼룩백이라 할지라도 황소가 지닌 대체적인 누런색 계통의 그 빛으로 신비화한다. 그것은 어릴 적 몽환의 요소와 결합된 풍경이라고 할 수 있다. ‘해설피게으른이란 단어는 농촌의 한가함을 대변해 준다. ‘금빛 게으른 울음이란 시각과 청각이 어우러진 공감각적 표현이다.

2연에서 고향은 아버지의 모습으로 구체화된다. 재가 식은 질화로와 짚베개의 이미지를 통하여, 단순하고 소박하며 가난하나 평화롭고 단란한 농가의 정경을 상상할 수 있다. 황소를 통한 1연의 정태적 이미지가 역동적 이미지로 바뀌는 부분이기도 하다. 2행은 , 의 순음 계열과 모음의 교묘한 배열을 꾀하면서 활유적인 표현을 하였는데, 이 활유를 통해 언어는 구체적인 것이 되며 주로 시각적 이미지가 뚜렷해진다. ‘엷은 졸음이란 살풋 든 졸음을 감각화한 표현이다.

3연은 화자 자신의 유년기의 회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흙과 하늘, 이슬에 의한 고향의 환기, 하늘을 향해 쏘아 올린 화살은 그 상승적 지향고 함께 유년기의 순수라고 할 수 있다. 이 연에서는 ’, ‘하늘’, ‘함부로’, ‘화살’, ‘함초롬’, ‘휘적시던이란 단어를 나열함으로써 음의 운이 성립된다.

4연은 2연과 마찬가지로 고향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이상적 대상인 누이와 현실적 대상인 아내 모두가 부지런히 농사일에 전념했다는 진술로 그 고향의 모습은 더 말할 것 없이 화해적이다. ‘밤물결검은 귀밑머리는 각각 보조 관념과 원관념으로 검음’, ‘출렁거림’, ‘신비’, ‘순수란 측면에서 서로 이어지고 있다.

5연에서는 하늘에는 성긴 별’, ‘모래성’, ‘서리 까마귀등으로 이어지는 이미지의 전개는 가난하고 힘든 농촌 생활의 어려움을 나타낸다. 그러나 유년기의 몽상 속에서 결코 상처입지 않은 고향이기에 그 곳에는 흐릿한 불과 초라한 지붕을 감싸안은 가족들의 도란거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