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비문학Ⅱ

I-2-[1] 다문화 시대의 한국 문학

남촌 윤승식 2013. 1. 2. 10:20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I-2-[1] 다문화 시대의 한국 문학

김재영, ‘코끼리(교과서 39~43p)

 

1. 작품 개관

갈래

단편 소설

성격

사실적, 현실 비판적

배경

시간-1990년대 공간-일산구 식사동 가구 공단

시점

1인칭주인공 시점

주제

이주 노동자들의 비참한 현실과 애환

출전

창작과 비평’ 2004년 가을호

특징

1) 한국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주 노동자들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나타냄.

2) 아버지의 나라와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 중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소년의 상황과 심리 상태를 구체적으로 형상화 함.

 

2. 핵심 정리

코끼리의 의미

1) ‘코끼리의 상징적 의미

: 코끼리는 신들의 왕 인드라를 태우는 구름이었지만 격이 낮아져 우주를 떠받치는 기둥이 된 존재임. 코끼리는 천상의 삶에서 지상의 삶으로 격이 낮아진 존재(비참한 삶을 살고 있는 이주 노동자를 말함)

 

2) 아버지를 코끼리처럼 여긴 이유

: 코끼리- 천상에서 지상으로 삶의 격이 낮아짐 = 아버지-높은 히말라야에서 태어났지만 지금은 후미진 공장 지대에서 살아감

 

공간의 특징

네팔, 안나푸르나

돼지 축사

1) , 밝음

2) 아름다운 추억이 있는 공간

3) 꿈이 있는 공간

4) 따뜻한 인간관계가 있는 공간

1) , 어둠

2) 힘들고 고단한 삶이 있는 공간

3) 꿈이 좌절된 공간

4) 차가운 현실, 메마른 관계가 있는 공간

 

3.감상의 길잡이

1966년 경기 여주에서 태어났으며, 성균관 대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예술 대학원 문예창작전문가과정을 이수했다. 2000내일을 여는 작가신인상으로 등단했으며, 2005년 대산창작기금과 문화예술진흥원의 창작지원기금을 받았다. 단편 코끼리는 국내의 현대문학과 교수 350명이 뽑은 ‘2005 올해의 문제소설’, 작가들이 뽑은 오늘의 소설로 선정되었다.

 

이 작품은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한국 사회의 편견과 차별을 13살의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그리고 있는 소설이다. ‘가 아버지와 단둘이 살고 있는 곳은 돼지 축사를 개조한 쪽방으로, 그곳에는 미얀마, 방글라데시, 러시아에서 온 노동자들이 산다. ‘의 눈에 비친 그들은 꿈을 꾸며 이곳에 왔지만, 일을 하다가 손가락이 잘렸다거나 송금할 돈을 도둑맞았다거나 화재로 목숨을 잃는 등 절망감만 느끼고 고향에도 한국에도 속할 수 없는 서글픈 삶을 살고 있다. ‘는 구름보다 높은 히말라야에서 태어나 후미진 공장 지대에서 살아가는 아버지가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코끼리와 닮았다고 생각한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이 땅에 살고 있는 이주 노동자들의 힘겨운 삶을 담아내어 다문화 시대에 이들과 함께 살아갈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들의 배타적 · 차별적 태도에 대한 비판 의식, 국가와 종족의 구별을 넘어 모두가 함께하는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지향 의식을 바탕으로 다문화 시대에 우리가 지녀야 할 자세에 대한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4.활동하기

2. 등장인물의 행동에서 인물의 심리 파악하기

 

행동

심리

저녁마다 물에 탈색제 한 알을 풀어 세수하고 얼마나 하얘졌나 보려고 거울 앞으로 달려감.

학교에서는 쉬는 시간에 화장실에 숨었다가 종이 치면 교실에 들어감.

주변 친구들과 다른 자신의 겉모습으로 인해 소외감과 정체성의 혼란을 느낌.

아버지

탈색제를 풀어 세수하는 아들의 종아리를 때렸지만 아들이 자는 동안 붉은 실핏줄이 보일 만큼 껍질이 벗겨진 얼굴에 누크베이비 로션을 잔뜩 발라 줌.

이불을 머리끝까지 뒤집어쓰고 네팔 말을, 몹시 지친 목소리로 중얼거리며 잠들기 직전까지 흐느낌.

고향 가는 꿈을 꾸지만 꿈속에서도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외치다가 깸.

아카스가 네팔 인의 정체성을 부정한다는 생각에 화가 나면서도 마음이 아픔.

아들의 아픔을 알아주지 못한 데 대한 미안함을 느낌.

자신뿐 아니라 아들까지 차별받으며 살아가게 한다는 사실에 자책감을 느낌.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한국에 있는 가족에 대한 애정이 드러남.

토야 엄마

그곳으로 데려다 주세요.’라는 가사의 노래를 부름.

단속반에게 잡혀 스리랑카로 추방된 남편과 고향을 그리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