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과서현대시

문학교과서 현대시(개화기-애국하는 노래)

남촌 윤승식 2014. 1. 2. 11:37

 

 

이필균, ‘애국하는 노래

 

1. 작품 개관

갈래

개화가사, 애국가사

성격

계몽적, 설득적, 교훈적

주제

개화, 계몽을 통한 애국

특징

1   1) 민요의 가창 방식과 가사의 4.4조 형식을 계승함.

2    2) 개화, 자주독립, 부국강병 등을 강조하고 있으며, 계몽적 성격을 보임.

 

 

2.작품 풀이

 

아시아의 대조선국이 자주 독립국임이 분명하다.
(합가 :
여러 사람이 함께 부르는 노래) 애야 에야 애국하세. 나라위해 목숨을 바치세. - 자주 독립 국가에 대한 신념

분골쇄신[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지도록]이 되도록 임금께 충성하고 나라를 사랑하세
(합가)우리 정부를 받들고 우리 군면
(국민)을 도와주세 - 충군 애국의 정신

깁흔 잠(고루하고 폐쇄적인 봉건 의식에 빠져 있는 사회 제도나 상태/ 무지몽매를 말하고, 작가의 비판 의식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에서 깨어나 부국강병(부유한 나라와 강한 군대라는 뜻으로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군대를 강하게 한다는 뜻)하고 진보하세[서세 동점에 위기를 느끼고, 문명 개화를 통해 시급히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군대를 기를 것을 역설한 것이다. '깁흔  잠'은 봉건적 사회 제도나 그런 의식을 의미한다. '깁흔 잠'과 대조적인 의미는 '개화'이다.]
(합가)(
그렇지 못하면) 남의 천대(업신여기어 푸대접함) 받게 되니 후회 막급[이미 잘못된 뒤에 아무리 후회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음] 없이 하세 - 개화·각성에 의한 부국 강병

마음을 합쳐서 한 마음 되어[합심과 일심은 '한 마음'이라는 뜻으로 반복법에 해당] 서세 동점(서구 열강의 동양 침략)을 막아보세
(합가)사농공상 힘을 다하여
[사농은 봉건 시대의 네 가지 계급으로 선비, 농부, 공장, 상인을 말함. 온갖 산업에 힘을 다하여 국민 각자가 자신의 생업을 가져야 할 것을 주장 또는 사농공상의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단결하여] 사람마다 생업[자신의 일]에 힘쓰세 - 대동단결에 의한 반외세·근대화

남녀 가릴 것 없이 입학하여 세계의 학식을 배워 보자.[신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 것으로 아직 보편화되지 않았던 여성 교육까지 주장한 것에서 작자의 진보적 사고 방식을 엿볼 수 있고 '세계 학식'은 다분히 서양의 학문을 의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합가)교육을 받아야 개화가 되고 개화
[사람의 지혜가 열려 새로운 사상, 문물, 제도 따위를 가지게 됨]가 되어야 사람이 되네 - 교육을 통한 개화

팔괘[8가지의 괘. 주역(周易)의 산목(算木)에 그려진 8가지의 점상(占象)인 건(乾)·태(兌)·이(離)·진(震)·손(巽)·감(坎)·간(艮)·곤(坤) 등으로 나중에는 운명 판단의 기본 원리이며 점(占)·역(易)·복점(卜占)의 뜻으로 변하였다. '사기(史記)'의 '삼황기(三皇紀)'에 의하면 팔괘는 중국 최초의 제왕 복희(伏羲)가 천문지리를 관찰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뒤에 이 괘 2개씩을 겹쳐 중괘(重卦) 64패를 만들어 사람의 길흉화복을 점치게 되었다] 국기(태극기)를 높이 달고 육대주(전세계)에 횡행(거리낌없이) 나아가세,[세계를 향한 힘찬 도약, 세계의 강대국이 되자는 의지를 표현한 구절이다 국력 신장을 통한 국제적 지위 향상.]
(합가)산이 높고 물이 깊게 우리 마음에 맹세하세. -
자주 독립과 국위 선양

 

3.핵심 정리

 

1) 형식적 특징

4.4, 4음보의 전통 가사의 율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명히 하고 독자가 집중할 수 있도록, 각 행 4음보, 21연의 분연체로 이루어져 있다.

작자가 가장 강조하고 있는 자주권 수호와 문명 개화를 언급하고 있는 부분은 분명되네와 같은 단정적 어조를, 나머지 부분은 ‘-와 같은 청유형 어미를 사용하여 계몽적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각 연의 앞절에서 선창자가 주장하는 바를 제시하면, 후절에서는 나머지 사람들이 그 내용을 구체화시키는 방식으로 내용이 구성되고 있다.

 

 

3. 각 시구의 의미

시구

의미

1

쥬독립 분명.

자주 독립 사상의 고취

2

츙군.

애국 사상의 고취

3

부국강병 진보.

부국강병의 필요성

4

셔셰 동졈 막아 보세.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한 경계

5

교휵화되고,

개화를 위한 신교육의 필요성

6

쥬에 횡.

국위 선양의 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