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표현법
1) 비유법
(1) 개념 :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서 표현하는 표현 방법.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 에는 유추관계가 성립해야 함.
(2)갈래
- 직유법: ~처럼, ~같이, 인 듯,인 양
예)서정주의 ‘국화꽃 옆에서’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보조 - 은유법: ‘A는 B다’, ‘A의B’
예)김동명의 ‘파초’ : 소낙비를 그리는 너는 정열의 여인
- 대유법:부분으로 전체 대신(제유법), 속성으로 전체 대신(환유법)
예)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빼앗긴 들(국토)에도 봄은 오는가
예)환유법: 금수강산(대한민국) 바지저고리(시골 사람) 사각모자(대학생)
- 의인법: 사물에 인격 부여
예)김광섭의 ‘산’: ·산은 사람들과 친하고 싶어서 / 기슭을 끌고 마을에 들어오다가도
- 활유법:사물에 생물의 동작 부여
예) 박남수의 ‘아침 이미지’: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
- 풍유법: 속담, 격언, 우화, 풍자시
- 중의법: 두 가지 의미
예)신경림의 ‘농무’: 분이 얼루진 얼굴
- 의성법(성유법):소리 흉내
예)강은교의 ‘우리가 물이 되어’: 푸시시 푸시시
- 의태법(시자법):동작 흉내
예)김해강 '출범의 노래': 해는 오르네/둥실둥실 둥실둥실
2)강조법
- 과장법: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 표현
예) 하늘에 닿은 수풀, 밴댕이만한 소갈머리, 간이 콩알 만해졌다, 눈물의 홍수, 하늘을 찌르는 산
- 반복법
김수영의 ‘눈’:눈은 살아 있다.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마당 위에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 대조법:의미의 대조
예)앉아서 주고, 서서 받는다.
- 점층법:단계적으로 점점높게, 강하게, 크게(감정의 고조)
예) 신록은 먼저 나의 눈을 씻고, 나의 가슴을 씻고, 다음에 나의 마음의 모든 구석구석을 하나하나 씻어 낸다.
- 점강법: 감정의 가라앉음.
예) ·첫날엔 오십 리, 다음 날엔 사십 리, 삼십 리, 점점 줄어지다가는, 하루씩 어느 마을에고 들어가 쉬었다
- 영탄법: 감탄사,감탄형 어미
예) 사뿐히 접어 올린 외씨 버선이여 !
- 미화법:대상을 실제보다 아름답게
예)우리나라는 금수강산이라 불려 왔다
- 열거법
예)백석의‘모닥불’: 새끼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검불도 가락잎도 머리카락도 헌겊조각도 막대꼬치도 기와장도 닭의짗도 개터럭도 타는 모닥불
- 비교법:성질이비슷한 사물이나 내용
예)변영로의 ‘논개’: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 억양법: 칭찬하기 위하여 먼저 내려깎는다든지, 내려깎기 위하여 먼저 칭찬한다던지 하는 표현 방법
예)세상은 차다지만 나는 찬 줄을 모른다
- 생략법:함축성과 여운
예)왔노라, 보았노라, 싸웠노라, 이겼노라
- 현재법:과거의 일/미래의 예정된 일-현재
예)나폴레옹은 개선문을 들어선다. 환호와 박수를 보내는 파리 시민들
- 연쇄법
예)기차는 빠르다, 빠른 것은 비행기, 비행기는 높다 ······
3) 변화법
- 설의법:의문 형식
예)무슨 이익이 있으랴.
- 도치법: 어순 바꿈
예)가자, 빨리
- 대구법: 가락이 비슷한 말을 나란히 나타냄
예)꽃은 안개와 같고, 사람은 구름과 같다
- 인용법: 이름이 있는 사람의 말, 속담, 격언, 경전의 구절
예)셋이 길을 가면 그 중에 반드시 스승이 있다더니, 당신이야말로 내게 좋은 교훈을 주었소
- 반어법:참뜻과는 반대되는 말
예)김소월의‘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문답법
예)*아희야, 무릉(武陵)이 어디오, 나는 옌가 하노라.
'문학교과서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의 기초 개념(어조,정서적 거리) (0) | 2014.01.01 |
---|---|
시의 기초 개념(상징,역설,반어) (0) | 2014.01.01 |
시의 기초 개념(심상) (0) | 2013.12.27 |
시의 기초 개념( 시의 운율) (0) | 2013.12.27 |
시의 기초 개념(개념,구성 요소,시어의 특징) (0) | 201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