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시의 이미지(심상)
1)개념
구체어(구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언어)로부터 연상되는 감각적 인상이나 형상(감각적 이미지), 또는 연상되는 추상적 관념(상징적 이미지)을 말한다.
2) 이미지의 갈래
(1)감각적 이미지
-시각적 이미지:모양, 색채, 움직임, 명암
예)김광균 '외인촌': 파아란 영득을 달은 마차가 한 대 잠기어 가고 신석정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좁은 들길에 들장미 붉어
-청각적 이미지: 소리, 음성, 음향
예)김광균 '설야':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내리면 /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후각적 이미지: 냄새
예)김동환 '산 넘어 남촌에는':밀 익는 오월이면 / 보리 내음새 김상옥 '사향':어마씨 그리운 솜씨에 향그러운 꽃지짐
-미각적 이미지: 맛
예) 정지용 '고향':메마른 입술이 쓰디쓰다
-촉각적 이미지: 감각
예) 김종길 '성탄제': 나는 한 마리의 집승 / 열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다.
-공감각적 이미지 : 어떤 감각이 다른 감각으로 전이(轉移)되어 나타나는 이미지(A의 B화)
예) 김광균 ‘외인촌’: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청각의 시각화) 박성룡 '풀잎': 우리들의 입 속에서는 푸른 휘파람 소리가 나거든요(청각의 시각화)
-복합감각적 이미지 : 김각의 나열
예) 김소월 ‘나그네’ : 술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 놀
(2)상징적 이미지
그리고 나의 작은 冥想(명상)의 새 새끼들이 지금도 저 푸른 하늘에서 날고 있지 않습니까?’에서⇒ ‘새 새끼’들이 날아다니는 모습을 통해, 관념적 존재인 (‘명상’)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말하자면 관념인 (‘명상’)을 ‘새 새끼’라는 (구체적 형상)으로 비유한 것이다. 이런 구체적 형상이 바로 이미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관념’)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였다
3) 이미지의 기능
(1) 감각적 인상의 재현, 추상적 관념의 구체화, 추상적 관념의 암시함으로써 사물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하며, 사물의 인상과 영상을 더욱 뚜렷이 하는 기능을 한다.
(2)이미지의 제시 방법
-묘사(서술) 또는 감각적인 수식어의 구사를 통하여
-직유, 은유, 대유, 의인 등의 수사적 표현 방법에 의해
-상징을 통해 : 이미지의 기본적인 기능은 감각적 인상을 생생하게 재현해 내는 데 있다. 그러나 이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이미지는 어떤 대상의 감각적 인상을 전해 줄 뿐만 아니라, 독자에게 그 대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관념들을 연상시킨다. 이와 같이 ‘관념을 연상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이미지’를 상징적 이미지라 한다
'문학교과서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의 기초 개념(어조,정서적 거리) (0) | 2014.01.01 |
---|---|
시의 기초 개념(상징,역설,반어) (0) | 2014.01.01 |
시의 기초 개념(표현법) (0) | 2014.01.01 |
시의 기초 개념( 시의 운율) (0) | 2013.12.27 |
시의 기초 개념(개념,구성 요소,시어의 특징) (0) | 201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