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보13호 무위사 벽화

남촌 윤승식 2012. 8. 10. 19:19

 

 

극락보전(極樂寶殿)

 

강진읍에서 북쪽으로 약 16쯤 위치한 성전 무위사 극락보전 앞마당에 있는 300~400년은 됐을법한 나무들이 새봄을 맞아 초록의 옷으로 바꿔입고 있었다. 그 초록빛 그늘아래에 대로 엮은 평상이 놓여있었다. 무위사까지 오느라고 피곤한 나그네에게 더 없는 반가운 자리였다.나무 아래 넓게 펼쳐진 절 마당은 비교적 깨끗하였다. 마당엔 배례석 하나가 있을 뿐이다. 돌 가운데 연꽃이 새겨져 있다. 극락보전 안의 부처님 정면에서 조금 비껴선 자리. 그 앞에서 마음 가다듬어 예를 올리라는 의미일 것이다.

 

마당에서 바라보이는 극락보전(국보 제13)은 단아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무위사 극락보전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목조건축으로 현존하는 많지 않은 건물 중 하나이다. 극락보전의 아름다움은 정면보다 측면에서 여실히 알 수 있다.

 

측면은 기둥과 들보가 그대로 노출되어 노란 벽체의 면과 선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는 맞배지붕으로 된 주심포계 건물의 특징으로 수덕사 대웅전, 봉정사 극락전 측면에서도 이같은 구조미를 볼 수 있다. 고려 말기 건축이 곡선재를 많이 쓴 데 비해 직선재를 써서 더욱 간결하면서도 균형있는 짜임새를 이루고 있다. 인위를 버리라는 절의 이름과 어울리게 극락보전에는 허세와 치장이 없다. 더할 것도 뺄 것도 없다.

 

극락보전 안에는 1476(성종 7)에 그림을 끝맺었다는 기록이 있는 아미타 삼존벽화와 수월관음도가 있다. 두루말이식의 탱화가 아닌 토벽에 그린 벽화들이다. 불단 뒤의 아미타삼존벽화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과 지장보살이 협시한 불화로서 조선초 벽화의 대표적인 작품. 이처럼 화기가 분명하건만 그림이 워낙 유명하다 보니 전설이 깃들었다. 극락보전을 완성한 후 백일기도를 드리고 있던 어느 날, 남루한 차림을 한 노승이 절에 찾아왔다. 그는 법당 벽화를 그리겠다고 하더니 49일동안 들여다보지 말라고했다. 노승은 법당에 들어가더니 문을 모두 걸어 잠근 후 한 번도 나오지 않고 음식을 달라고 하지도 않았다. 당연히 궁금증을 못 참은 주지스님은 문틈으로 법당안을 엿보았다. 그랬더니 파랑새 한 마리가 입에 붓을 물고 그림을 다 그린 후 막 관음보살의 눈에 눈동자를 그리려던 참이었다. 그러나 인기척을 느낀 파랑새는 붓을 떨어뜨리고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 그래서 지금도 후불탱화의 관음보살 눈에는 눈동자가 없다는 것이다.

 

후불 벽 뒷면의 수월관음도에는 관음보살이 물음을 구하는 선재동자를 내려다보고 있는 모습이 담겨있다.

 

바람에 흩날리는 저 옷자락이 아니었다면 관음보살은 500년 세월 저편에 그저 붙박혀 있었을지 모른다. 흩날리는 옷자락은 세월을 건너뛰어 영원한 현재성으로 다가온다. 극락보전에는 이외에도 많은 벽화가 있었으나 1974년부터 해체보수를 하여 현재는 벽화보존각에 보존하고 있다. 비천선인도와 아미타여래내영도 같은 벽화들의 아름다움은 무위사에서 누릴 수 있는 즐거움 중의 하나이다.

 

무위사

 

월출산 자락에 자리한 무위사는 이 절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 진평왕 39(617)에 원효대사가 이곳 월출산 남쪽 기슭에 창건하여 관음사라 했다가 1555년 태감선사가 지금의 이름인 무위사로 불렀다고 전한다. 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그 당시 지어졌던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버렸다. 절 입구의 천왕문을 시작으로 중앙에 극락보전, 오른쪽에 명부전, 왼쪽에 산신각과 미륵전이 있다. 계곡의 다리를 건너면 천불전이 있으며, 절 옆에는 선각대사 편광탑비(보물 제507)와 삼층석탑(도지정 문화재자료 76)이 남아 있다.

<신동국 여지승람>에 의하면 무위사가 수륙사(水陸社)로 지정돼, 지상에 떠도는 망령을 부처님에 의하여 환생케 하는 수륙재(水陸齋)를 지내면서 적을 포함한 전사자를 위로했다고 전해진다.

 

가는 길

[승용차] 13번 국도강진 방면강진군 성전면 영풍리(신풍부락) 오른쪽으로 무위사 진입로무위사 (17)

 

[대중교통] 이용시 강진 직행버스 이용, 성전면에서 하차. 성전에서 무위사까지 군내버스나 택시 이용(15분 소요).

강진읍무위사행 군내버스(30분 소요) 강진공용정류소 061-432-9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