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과서 현대시 (1930년대- 바다2)
바다2 - 정지용
바다는 뿔뿔이달아나려고 했다.→바다의 역동적 모습(활유법)
푸른 도마뱀 떼같재재발렀다.→몹시 재치있고 빠르다.
꼬리가 이루.→여간해서는 도저히 잡히지 않았다 흰 발톱에 찢긴→바닷물이 일으키는 하얀 물결(은유) 산호(珊瑚)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가까스로 몰아다 부치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었다.→가장자리
이 애쓴 해도(海圖)에→바닷물에 의해 이루어진 모래톱 손을 씻고 떼었다
찰찰 넘치도록.→음성상징어(경쾌하고 역동적임.운율형성) 돌돌 구르도록→음성상징어(경쾌하고 역동적임.운율형성)
휘동그란히 받쳐 들었다 지구(地球)는 연(蓮)잎인 양 오므라들고 …… 펴고 ……. : <시원, 1935> |
1.핵심 정리
갈 래 |
자유시, 서정시 | |
성 격 |
역동적, 감각적,비유적 | |
제 재 |
바다 | |
주 제 |
바다의 모습 | |
구성 |
1-4연 |
바다의 역동적이고 세부적인 모습 |
5-6연 |
바다의 전체적인 모습 | |
7-8연 |
상상속의 바다. | |
표현상의 특징 |
1)기발하고 다양한 비유적 심상을 통해 바다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함. 2)원경에서 근경으로 시선이 변경됨 3)현실에서 상상으로 전환함. |
2. 비유적 표현의 함축적 의미
비유적 표현 |
의미 |
푸른 도마뱀 떼 |
파도의 푸른 물결 |
흰 발톱 |
파도의 흰 물결 |
산호(珊瑚)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
파도에 씻겨 나간 해안가 |
해도(海圖) |
파도에 의해 모래에 남은 물결무늬 |
연(蓮)잎 |
바따로 둘러싸인 바다 |
3. 감상의 길잡이
정지용 시인의 초기 작품 중에는 ‘바다’를 소재로 쓴 작품이 10여편에 이르는데 그 가운데 시인 특유의 감각적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보여준 작품이 ‘바다 2’이다. 이 작품은 파도가 밀려오는 푸른 바다의 모습을 놀랄 만큼 신선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1-4연의 전반부에서는 빨리 달리는 배를 타고 파도를 가르며 수평선을 향해 나가면서 느끼는 바다의 역동적인 이미지를 묘사했고 5-8연의 후반부에서는 해안선까지 확대된 시인의 시선을 통해서 바다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 작품은 감정을 최대한 절제하고 색채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를 중시하였고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역동적이고 경쾌한 생동감을 형성하였다. 문학 Ⅰ(박영민) < 서정 문학의 수용과 생산 < 시의 심상과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