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과서현대시

문학교과서 현대시 (1930년대-깃발)

남촌 윤승식 2014. 7. 31. 10:01

깃발- 유치환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깃발의 거센 움직임을 형상화. 침묵하는 가운데서도 내적인 몸부림이 매우 강렬함을 표현.(은유, 모순형용)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가고자 하는 이상향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끝끝내 갈 수 없는 향수 (노스탤지아(nostalgia)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이상세계에 대한 동경은 소년적 순수한 그리움에 바탕함.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이상향에 집념하는 의지의 상징

애수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영원한 이상에 갈 수 없는 슬픔(직유)

아아 누구던가. 인간 존재의 근원적 본질에 대한 질문(영탄법)++++++++++++++++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이상세계에 갈 수 없는 인간적 한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도치법

(?조선문단?, 1936.1)

 

 

1.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상징적, 낭만적, 역동적, 사변적(思辨的),역설적,의지적

어조

남성적인 장중, 강건한 어조

주제

이상향에 대한 향수와 좌절감에서 오는 비애감

구성

1-3

깃발의 역동적 모습 초월적 세계에 대한 향수

4-6

깃발의 순수한 열정과 애수 전반부의 구체화

7-9

인간 존재의 동경과 좌절의 아픔 역설적 상황에 대한 질문

표현상의 특징

1) 역설적(모순형용)인 표현사용(소리 없는 아우성)

2) 역동적 이미지 사용(깃발의 이미지)

3) 색감의 대조('백로처럼 날개를 펼친','푸른 해원')

4) 대상을 의인화하여 표현

5) 구체적 사물을 관념화하여 표현(깃발)

6) 비유적 심상에 의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2.비유적 표현

원관념

의미

보조 관념

보조 관념의 보조 관념

깃발

이상향에 대한 순수한 동경

아우성

 

손수건

 

순정

물결

이상향에 도달하지 못한 한계 좌절

애수

백로

마음

 

 

 

3.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청마 초기시의 주된 정조인 연민과 애수의 서정을 통하여 존재론적 차원의 허무의 문제를 제기한 작품이다. 9행의 단연 형식의 이 시는 비유적 비교와 반어적 대조를 통해 성공을 거두고 있다. 진술(陳述)에 의존하여 대부분 관념시가 되고 있는 일반적인 청마시에 비해, 이 시는 체험의 윤리적 의미를 중시한 수사적 차원의 방법을 택함으로써 진술 대신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 시는 중심 이미지인 깃발아우성손수건순정애수마음이라는 5개의 참신한 보조 관념이 연결된 확장 은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곧 깃발은 노스텔지어의 손수건으로 푸른 해원이라는 이상향을 동경하는 순정을 상징하며, ‘애수마음은 이상향에 끝내 도달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좌절의 표상이다. 그러므로 푸른 해원의 하얀 깃발이라는 색채의 대조 속에는 이 두 상반된 태도가 적절히 대응되어 있다.

다시 말해, 깃발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서 이상향을 향한 아우성의 몸짓으로 의지와 집념의 자세를 보이기도 하지만, 결국은 깃대를 떠날 수 없는 숙명적 존재임을 깨닫고 절망하고 만다. 결국 이 작품은 이상향에 도달하지 못해 절망하는 감상적 허무와, 영원히 실현될 수 없는 이상인 줄 알면서도 끝끝내 포기하지 못하는 인간 존재의 모순과 고뇌를 깃발의 펄럭이는 모습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3.맥락 읽기

 

 1. 화자는?

나 또는 시인

 

2. 화자는 무엇을 바라보는가?

깃발

 

3. 그런데 깃발의 모습은 이 시에서 구체적인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4. 그렇다면 어떻게 표현되고 있나?

☞ ① 소리없는 아우성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순정 백로처럼 날개를 편 애수 슬프고도 애닯은 마음

** 이 시에서는 깃발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깃발에서 받은 화자의 느낌과 생각이 관념적으로 위의 다섯 가지로 표현된 것을 알 수 있겠다.

 

5. 화자는 깃발의 어떤 모습에서 이러한 정서를 얻었는지 깃발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 보자.

앞에는 망망대해가 펼쳐있고 바닷가 절벽 위에는 깃대에 매달린 깃발이 푸른 해원을 향해 아우성치 듯 펄럭이고 있어요.

 

6. 4번에서 정리한 다섯 가지 표현 중에서 공통적인 것끼리 나누어 보면? ☞ ①②③④⑤

 

7. ①②③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면?

☞ ①소리없는 아우성이 주는 느낌은? 무엇을 향한 갈망

에서는 푸른 해원을 향한 동경과 향수.

에서는 지극히 순수한 감정임을 말해 준댜.

 

7-1. 정리해 보면?

지극히 순수한 마음으로 푸른 해원을 향해 갈망. 동경. 향수를 느낀다고 볼 수 있겠네.

 

8. ‘푸른 해원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질 수 있는 이미지는?

☞ ① 떠나고 싶은 곳

미지의 세계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는 곳** 결국엔 화자가 추구하는 세계. 이상향으로 보면 되겠네.

 

9. 그런데 이상향을 추구한다는 것은 무척 의미 있는 일인데 왜 에서 애수와 슬픈 마음이 생길까? (깃대에 매달려 있는 깃발의 속성과 연관지어 생각해 보자.)

깃발은 이상향에 도달하려 몸부림치치만 깃대에 매달려 있는 현실적 한계 때문에 결국에는 이상향에 도달하지 못한다. 그러한 한계를 화자는 깃발의 모습을 보면서 떠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