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과서현대시

문학교과서 현대시(1920년대-진달래꽃)

남촌 윤승식 2014. 2. 4. 11:32

진달래꽃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가정적 상황, 이별에 대한 간접 선언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애원이나 원망 없이 체념적, 인종적(유교적)

 

영변(寧邊)에 약산(藥山)향토적 소재 (진달래 유명) - 사랑의 공간

진달래꽃임을 향한 정성과 사랑 상징. 시적 화자의 분신. / 헌신적인 사랑과 정성, ()의 표상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산화 공덕(=부처님이 지나가는 길에 꽃을 뿌려 영화롭게 함)

  두 팔을 벌려 껴안은 둘레의 길이. - 추상적 가치(사랑)를 구체화(양의 단위)한 표현 주관적 변용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꾹 눌러'의 평안도 사투리. 힘주어 밟고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애이불비(슬퍼도 슬퍼하지 않음)

 극단적 표현    도치법 - 눈물 강조

 

1.핵심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민요시

성격

토속적, 민요적, 유교적, 여성적

어조

여성적 어조, 여인의 애절한 목소리

경향

유교적 휴머니즘

운율

75조의 3음보 율격, 각운

제재

진달래꽃

주제

승화된 이별의 정한

구성

1

이별의 정한과 체념

2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3

원망을 초극한 헌신적 사랑

4

슬픔의 극복

표현상의 특징

토속적 사투리와 사랑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처리한 서정시의 백미

순종의 미덕과 여성의 강한 만류의 뜻이 담겨 있다.

우리다의 반복적인 리듬과 음악성이 돋보인다

호소하는 듯한 여성적인 목소리로 독자를 사로잡고 있다.

수미 상관법을 구사하여 구조적인 안정감을 얻고 있다.

상징, 반어, 반복, 도치, 점층 등의 다양한 수사를 구사

반어적 표현을 통한 절제의 압축미

 

2.감상의 길잡이

승화된 이별의 정한(情恨)이라고 일단 이해할 수 있는 이 시의 주제는 전통적 시가인 가시리나 황진이의 시조 어저, 내 일이야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것이다.

그러나 진달래꽃에서 그러한 주제를 이끌어 내는 것만으로 작품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듯한 이 시적 진술 속에는 한마디로 단정되기 어려운, 아주 미묘하고 야릇한 감정의 움직임이 엿보인다. 여성으로 짐작되는 이 시의 화자는, 표면적으로 적어도 결코 임을 보내고 싶지 않다는 진심을 그 속에 숨겨 놓고 있다. 표면적인 과장과 허세가 역설적으로 그의 내면적 진실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그 특유의 과장은 제2, 3연에서 확인된다. 임이 가시는 길에 진달래꽃을 뿌릴 테니 그것을 즈려 밟고가 달라고 화자는 말한다.

떠나가는 사람 앞에 꽃을 뿌린다는 것은 물론 비현실적인 행위이지만, 그것이 아름다운 이유는 임의 배신에도 불구하고 나의 사랑이 변함 없다는 데 있다. 그 행위는 표면적으로는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산화공덕(散花功德)’ , 임의 가시는 길에 꽃을 뿌려 그 걸음을 영화롭게 한다는 축복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표면적인 뜻에 매달려 시를 이해할 때, 우리는 거기서 한 여인의 비현실적이고 싱거운 포부밖에는 발견하지 못한다. 이 축복의 이면에는 오히려 가겠다는 임을 강력히 만류하는 뜻이 담겨져 있다. 다시 말하면 진달래는 그것이 지닌 붉은 색감에 의해 불타오르는 사랑의 이미지를 환기시켜 준다. 그리하여 사뿐히 즈려 밟고라는 말은 나의 사랑을 무참히 짓밟지는 말라는 뜻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화자가 여성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의 사랑이 여성화된 꽃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된 것이 당연하게 느껴진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은진달래꽃이 이별을 노래한 시라고만 생각해왔으며 심지어는 대학입시 국어 문제에서도 그렇게 써야만 정답이 되었다하지만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 우리다라는 그 첫 행 하나만 조심스럽게 읽어봐도 그것이 결코 이별만을 노래한 단순한 시가 아니라는 것을 간단히 알 수 있다왜냐하면가실 때에는…」「…드리우리다와 같은 말에 명백하게 드러나 있듯이 이 시는 미래 추정형으로 쓰여져 있기 때문이다이 시 전체의 서술어는「…드리우리다」「…뿌리우리다」「…옵소서」「…흘리우리다로 전문에 모두 의지나 바람을 나타내는 미래의 시제로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적 의미로 보면 지금 님은 자기를 역겨워하지도 않으며 떠난 것도 아니다오히려 그들은 지금 이별은커녕 열렬히 사랑을 하고 있는 중임을 알 수가 있다그런데도 이 시를 한국 이별가의 전형으로 읽어온 것은 미래추정형으로 된진달래꽃의 시제를 무시하고 그것을 현재나 과거형으로 진술한 이별가와 동일하게 생각해 왔기 때문이다

고려때의 가요가시리에서 시작하여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라는아리랑의 민요에 이르기까지 이별을 노래한 한국시들은 백이면 백 이별의 그 정황을 과거형이나 현재형으로 진술해 왔다오직 김소월의진달래꽃만이 이별의 시제가 미래추정형으로 되어 있고 시 전체가만약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해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한마디로 말해서 밤의 어둠을 바탕으로 삼지 않고서는 별빛의 영롱함을 그려낼 수 없듯이 이별의 슬픔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서는 사랑의 기쁨을 가시화할 수 없는 역설로 빚어진 것이 바로 소월의진달래꽃인 것이다즉 이별의 가정을 통해 현재의 사랑하는 마음을 나타낸 시이다

사랑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이라는 대립된 정서대립된 시간 그리고 대립된 상황을 이른바반대의 일치라는 역설의 시학으로 함께 묶어 놓는다그래서 사랑을 반기고 맞이하는 꽃이 여기에서는 반대로 이별의 객관적 상관물이 되고향기를 맡고 머리에 꽂는 꽃의 상부적 이미지가 돌이나 흙과 같이 바닥에 깔리거나 발에 밟히는 하부적 이미지로 바뀐다그러한 꽃의 이미지 때문에 가벼움을 나타내는사뿐히와 무거움을 나타내는밟다라는 서로 모순된 어휘가 하나로 결합하여사뿐히 즈려밟고의 당착어법이 되기도 한다그러나 이러한 반대의 것을 서로 결합시키는 소월의 시적 상상력을 통해서 우리는 비로소 바위 틈에서 피어나는 진달래만이 아니라 슬픈 발걸음 하나하나에서 밟히우면서 동시에 희열로 피어나는 또 다른 가상 공간의 진달래꽃의 아름다움과 만난다그것이 바로 이별의 슬픔을 통해서 사랑의 기쁨을 가시화하는 역설 또는 아이러니라는 시적 장치이다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의 마지막 구절을 눈여겨 보면 산문과는 달리 복합적 구조를 가진 시적 아이러니가 무엇인지를 알게될 것이다. 어느 평자도 지적한 적이 있지만 산문적인 의미로 볼 때에는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죽어도 눈물 아니 흘리우리다는 조금도 뜻이 다를 것이 없다그러나 부정을 뜻하는아니눈물앞에 오느냐 뒤에 오느냐로 시적 의미는 아주 달라진다. 아니가 뒤에 올 때에는 단순히 평서문으로서 그냥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는 진술 이상의 의미를 갖지 않는다. 하지만 아니가 눈물 앞에 올 때에는 그 부정의 의미가 훨씬 강력해진다.「아니라는 말이 의도적으로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눈물을 참을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 들수록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는 다짐은 더욱 강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강력한 부정일수록 긍정으로 들리는 시의 역설이 생겨나게 된다간단히 말하면 이 시는 소월시의 정수(精髓), 이별의 슬픔을 인종(忍從)의 의지력으로 극복해 내는 여인을 시적 자아로 하여 전통적 정한(情恨)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휘경여고 류덕균선생님의 자료 인용>

 

3.연구 문제

1.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전통적 정서 민요적 율격 여성적 자아 역설적 표현 관념적 시어

 

2. 이 시의 표현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수미 상응의 구조 전통적인 민요적 율격 시조의 전통을 잇는 음수율

반복과 변조(變調)의 기법 연 단위로 보이는 규칙적인 시행 배열

 

3. 이 시가 우리 시가의 전통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75, 3음보의 민요적 율격을 가지고 있다.

시적 자아가 여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향토적인 시어와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자기 희생적 헌신과 사랑을 주제로 삼았다.

수미쌍관(首尾雙關)식 구성법을 취했다.

 

4. 다음 중, 설명이 바르지 못한 것은?

역겨워’ - 지쳐서 약산’ - 향토적 소재

아름’ - ‘사랑의 정도를 형상화함 즈려밟고’ - 희생의 심상을 감각적으로 표현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임을 보낼 수 없음의 표현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에 내포된 의미로 알맞은 것은?

자신에 대한 원망의 반어적 표현 忍從(인종)과 체념의 여성적 정서

과거 추억에의 회귀성 애절한 사랑의 비극적 종말

현실적 사랑의 욕구로 진실을 외면

 

5. ‘진달래꽃에 내포된 의미나 시적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임을 위한 끝없는 헌신의 자세 임에 대한 원망과 미움

자기 희생을 통한 사랑의 승화 일종의 객관적 상관물

사랑의 비극적 종말을 심미화하기 위한 구체적 상징물

 

6. 이 시의 진달래꽃과 다음 시의 밑줄 친 이 함축하고 있는 공통적인 의미는?

자줏빛 바위 가에 /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 을 꺾어 바치오리다. - 헌화가

이별의 선언 사랑의 표현 사랑의 무상감

슬픔의 극복 의지 임을 향한 원망의 마음

 

7. 이 시와 다음 시의 시적 자아가 이별을 대하는 태도상의 차이를 간단히 쓰시오.

西京(서경)이 아즐가 西京(서경)이 셔울히 마르는 / 닷곤듸 쇼셩경 고마른 / 여희므로 아즐가 여희므로 질삼뵈 리시고 / 괴시란듸 아즐가 괴시란듸 우러곰 좃니노이다. - 서경별곡

 

8. 이 시가 다음 시의 전통을 계승했다는 근거로 제시하기 어려운 것은?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리고 가시리잇고 나/ 날러는 엇디 살라 / 리고 가시리잇고 나- 가시리

민족적 정서 민요풍의 율격 여성적 어조 관념적 심사 시적 자아의 태도

 

9. 시적 자아의 자기 희생적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표현을 있는 대로 찾아 쓰시오.

 

10. 이 시에서 서정적 자아의 내적 심리 상태와 실제적 행위 사이의 어긋남을 보여 줌으로써 시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는 연은?

 

11. 4연 마지막행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에 쓰인 표현 기법 둘을 쓰시오.

 

12. 4연 마지막행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별의 정한을 극복하려는 시적 화자의 의지를 강조하였다.

시의 율독에 대한 배려 때문에 도치법을 사용하였다.

고도로 절제된 감정의 표현이다.

유교적 인종의 미덕을 지닌 전통적 여성상을 표상하였다.

임의 회귀에 대한 낙관적 기대가 엿보인다.

 

13. ‘진달래꽃에 함축된 정서와 가장 가까운 것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묏버들 갈해 것거 보내노라 님의 손에

굳게 잠긴 잿빛의 문을 열고 나와서 하늘가에 머무른 꽃봉우릴 보아라.

연꽃같은 발꿈치로 가이 없는 바다를 밟고 / 옥같은 손으로 끝없는 하늘을 만지면서

 

14. 행위의 주체가 나머지와 다른 연은?

 

< 정답 및 풀이 >

1.

2.이 시는 대체로 3음보의 율격을 보인다. 시조는 4음보이다.

3. 주제는 이별의 슬픔과 그 승화이다.

4. 역겨워는 구역질이 남.(역겹다)

5. 속으로는 슬퍼하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6.

7.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내면적 감정의 표현이다.

(진달래꽃-체념적, 서경별곡-적극적) ‘진달래꽃에서는 임을 곱게 보내고 있지만, ‘서경별곡에서는 하던 일을 치우고 임을 따르겠다고 말하고 있다.

8. 사뿐히, 즈려 밟고에서 보듯, 진달래꽃은 구체적 심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9.(뿌리오리다, 즈려 밟고)

10. (2) ‘에 대한 원망에도 불구하고 진달래꽃을 따다가 의 발 밑에 깔아 놓는 행위-산화공덕(散花功德)

11. (반어법, 도치법) 체념한 듯 말하지만, 속으로는 간절한 기다림을 표현하고 있다.

12.

13. 진달래꽃은 서정적 자아의 분신으로 다함 없는 사랑과 그 확인의 수단임.

1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