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종 문학교과서 현대시와 현대시조 작품
♣ 개화기
애국하는 노래 – 이필균/경부철도 노래 – 최남선/해(海)에게서 소년에게 – 최남선
♣ 1920년대
가는 길 – 김소월/길 – 김소월/개여울 – 김소월/나의 침실로 – 이상화/님의 침묵 – 한용운/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산유화 – 김소월/알 수 없어요 – 한용운/접동새 – 김소월/진달래꽃 – 김소월/초혼(招魂) - 김소월/향수 – 정지용
♣ 1930년대
거울 – 이상/깃발 – 유치환/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 김영랑/낡은 집 – 이용악/남으로 창을 내겠소 – 김상용/내 마음을 아실 이 – 김영랑/모닥불 – 백석/노정기(路程記) - 이육사/바다 2 – 정지용/바다 1 – 정지용/ 바다와 나비 – 김기림/ 승무 – 조지훈/ 여우난 곬족 – 백석/ 오랑캐꽃 – 이용악/ 오월(5월) - 김영랑/ 장수산1 – 정지용/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 이용악/화사(花蛇) - 서정주(徐廷柱)
♣ 1940년대
견우의 노래 – 서정주/ 교목 – 이육사 / 국수 – 백석 / 귀촉도 – 서정주/ 길 – 윤동주/꽃덤불 – 신석정/ 낙화 – 조지훈/ 남신의주 유동 박씨봉방 – 백석/ 또 다른 고향 – 윤동주/ 별 헤는 밤 – 윤동주/ 비 – 정지용/ 산도화 – 박목월 / 청노루 – 박목월 /쉽게 씌어진 시 – 윤동주/ 어서 너는 오너라 – 박두진/ 유리창 – 김기림 / 인동차(忍冬茶) - 정지용/ 전라도 가시내 – 이용악 / 절정 – 이육사/ 참회록 – 윤동주 / 흰 바람벽이 있어 – 백석
♣ 1950년대
꽃 – 김춘수/ 눈 – 김수영 / 눈길 – 고은 / 눈물 – 김현승 / 목마와 숙녀 – 박인환/ 초토의 시1 – 구상 / 추천사 – 서정주/ 폭포 – 김수영/ 플라타너스 - 김현승
♣ 1960년대
강 2 – 박두진/ 겨울바다 – 김남조/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나무 – 박목월/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신동엽/ 동천(冬天) - 서정주/ 성북동 비둘기 – 김광섭/ 수정(水晶)가 – 박재삼/ 울음이 타는 가을 강 – 박재삼/ 이별가 – 박목월/ 자수(刺繡) - 허영자/ 종로 5가 – 신동엽 / 추억에서 – 박재삼 / 풀 – 김수영
♣ 1970년대
가을 운동회 – 이성교/ 그 이튿날 – 오규원 / 농무(農舞) - 신경림/ 목계장터 – 신경림/ 묘비명 – 김광규 /봄 – 이성부 /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 김춘수 / 슬픔이 기쁨에게 – 정호승/ 저문 강에 삽을 씻고 – 정희성 / 조그만 사랑 노래 – 황동규/ 질마재 신화 – 서정주/ 파장(罷場) - 신경림/ 화살 - 고은
♣ 1980년대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 황지우/ 기념식수 – 이문재/ 노동의 새벽 – 박노해/ 대설주의보 – 최승호 / 모닥불 – 안도현/ 무화과 – 김지하/ 북어 – 최승호/ 빈 집 – 기형도/ 뿌리에게 – 나희덕/ 사랑 – 전봉건 / 사랑법 – 강은교/ 사평역(沙平驛)에서 – 곽재구/ 상한 영혼을 위하여 – 고정희/ 상행(上行) - 김광규/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 황지우/ 서시 – 이성복/ 섬진강3 – 김용택/ 세한도(歲寒圖) - 송수권/ 심인 - 황지우 / 우리 동네 구자명씨 – 고정희/ 일어서라 풀아 – 강은교/ 전장포 아리랑 – 곽재구/ 질투는 나의 힘 – 기형도/ 타는 목마름으로 – 김지하/ 편지2 (이중섭 화가께) - 신달자/ 한국생명보험회사 송일환 씨의 어느 날 – 황지우/ 홀린 사람 - 기형도
♣ 1990년대
가을 떡갈나무 숲 – 이준관/ 강원도의 돌 – 마종기/ 그림엽서 – 김남조/ 꽃피는 시절 – 이성복/ 다리 저는 사람 – 김기택/ 들판이 적막하다 – 정현종/ 바퀴벌레는 진화 중 – 김기택/ 비망록 – 문정희/ 성숙 – 고재종/ 성에꽃 – 최두석/ 성에꽃 – 문정희/ 어떤 기쁨 – 고은/ 연탄 한 장 – 안도현/ 이 사진 앞에서 – 이승하/ 지구 – 박용하/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 – 정희성/ 한계령을 위한 연가 - 문정희
♣ 2000년대
간격 – 안도현 / 감자 먹는 사람들 – 김선우/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 – 이문재/ 까치밥 – 송수권/ 낙화, 첫사랑 – 김선우/ 단단한 고요 – 김선우/ 동승(同乘) - 하종오/ 밭 – 정우영/ 밴드와 막춤 – 하종오/ 별을 굽다 – 김혜순/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 박라연/ 석류 – 안도현/ 순간의 꽃 – 고은/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 하종오/ 신분 – 하종오/ 우포늪 왁새 – 배한봉/ 원어(原語) - 하종오/ 절규 – 이장욱/ 찬밥 – 문정희/ 첫사랑 – 고재종/ 퇴근 시간 – 문정희/ 흙 - 문정희
♣ 현대시조
이병기 – 난초/ 박연 폭포( 朴淵瀑布) - 이병기/ 백자부 - 김상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