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과서현대시

시의 기초 개념(어조,정서적 거리)

남촌 윤승식 2014. 1. 1. 22:15

 

9. 시의 어조

1) 개념

 시적 화자가 대상에 대하여 취하는 태도가 반영된 독특한 말투나 말씨.

 

2) 갈래

(1) 시적 자아의 태도에 따른 유형

관조적 : 대상을 잔잔히 바라보는 태도

교훈적 : 깨우침을 주는 태도

낙천적 : 긍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

낭만적 : 멋있는 말소리와 태도로 이상적 세계를 나타내는 태도

냉소적 : 업신여겨 비웃는 태도

독백적 : 혼자 말하는 태도

비판적 : 좋고 나쁨, 옳고 그름을 따지는 태도

사색적 : 깊이 생각하여 판단하는 태도

염세적 : 부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

예찬적 : 찬양하는 태도

종교적(소망적) : 기원하여 무엇을 소망하는 태도

철학적 : 인생의 깊이를 따지는 태도

풍자적 : 꼬집어 상대방의 약점을 찌르는 태도

해학적 : 대상을 익살스럽게 바라보는 태도

회화적 : 그림을 그리는 듯 대상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태도

남성적, 여성적 어조. 독백조와 회화조. 권유, 명령, 의문, 간청, 순응 등

 

(2) 시적 자아의 감정에 따른 목소리

격정적 : 솟구치는 열정의 목소리

냉정함 : 차가운 목소리

힘참 : 호소하는 목소리

침착함 : 조용한 목소리

기쁨 : 환희의 목소리

슬픔 : 애상적 목소리

영탄적 : 감동을 소리로 나타낼 때

명랑함, 우울함 등: 독백조회화조, 명령고백, 예찬비난기원, 남성적여성적, 격정적냉정한 어조

 

10. 정서적 거리

개념: 시적 자아와 대상간의 정서적 연관성의 정도 객관적 사물일지라도 그것을 통해 시적 자아의 정서가 비교적 분명히 드러날 때 정서적 거리가 가깝다고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