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비문학Ⅰ

II-2-[1] 화자와 태도

남촌 윤승식 2013. 1. 9. 22:14

 

어느 행상인의 아내, ‘정읍사(井邑詞)’

 

1. 작품 개관

갈래

고대 가요(백제 노래)

성격

서정적, 비유적

표현

의인법,돈호법

주제

행상 나간 남편에 대한 염려와 안전을 기원함.

특징

1) 조흥구를 사용하고 있음.

2) 여음을 제외하면 시조의 형태와 유사함.

3)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하고 있음.

4)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

 

2. 배경 설화

 

정읍은 전주의 속현이다. 정읍 사람이 행상을 나가서 오래 되어도 돌아오지 않으니, 그 아내가 산 위에 있는 돌에 올라가서 바라보았다. 그녀는 남편이 밤길을 가다 해를 입을까 두려워하여 진흙물의 더러움에 부쳐서 이 노래를 불렀다. 세상에 전하기는 고개에 올라가 남편을 바라본 돌이 있다고 한다. (고려사)

 

3.활동하기

 

1. 배경 설화를 통해 시적 화자와 대상, 시적 상황 파악하기

시적 화자는 누구?

정읍에 사는 행상인의 아내일 것이다.

 

시적 화자는 누구를 기다리고 있으며, 무엇에게 소원을 빌고 있는지 찾아보자.

행상을 떠나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고 있으며, 하늘에 떠 있는 달에 소원을 빌고 있다.

 

진흙의 더러움에 의탁했다는 것에 근거하여 가 어떤 곳일지 생각해 보자.

이 작품의 는 해가 저무는 시간에도 돌아오지 않는 남편의 안전과 보행을 염려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만한 장소이다.

등짐 장사를 하는 남편의 짐을 빼앗으려는 도적의 무리

험한 산길의 외진 곳

남편을 유혹하는 여인이 있는 곳 등 남편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공간이다.

 

이성복, ‘꽃 피는 시절

 

1.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감각적, 비유적

주제

생명 탄생(개화)을 위한 고통과 환희

특징

1) 개화의 과정을 의인화 함.

2) 경어체를 사용한 고백적 어투를 사용하고 있음.

3) 청자를 대상으로 한 대화체의 말하기 형식을 띠고 있음.

 

2.시어 풀이

 

'당신'을 안에 품고 있는 존재, '당신'을 잎잎이 뱉아 낼 존재, 꽃잎을 감싸고 있는 외피임을 알 수 있다. 이 외피가 꽃이 피는 과정에서 부서지고 찢긴다는 점에서 시인의 상상력이 놀랍다.

귀먹고 눈먼 ~ 땅 속을 헤매다 '당신'이 식물과 관련됨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구절

누군가의 입가에서 ~ 되려 하셨지요. 기쁨과 희망을 주는 존재로서의 당신

부르지 않아도 ~ 않아도 당신은 옵니다. 자연의 섭리(생명 탄생)의 당위성

당신이 올 때면 ~ 고개를 듭니다.당신의 강한 생명력과 당신이 경외심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임을 나타낸 표현

당신은 ~ 내 안에 있습니다.내가 당신()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임을 알게 해줌.

당신은 나를 ~ 몸부림하지만꽃이 피는 것을 의지적 행위로 묘사함.

내게서 당신이 ~ 갈가리 찢어지고꽃이 피기 위해서는 고통과 희생이 필요함을 나타낸 표현

나는 울고 싶고, ~ 잎잎이, 뱉아낼 테지만 하얀 꽃이 피어나는 순간을 묘사

굳은 살가죽에 ~ 막막합니다. 꽃을 피우기 위해 내가 겪어야 할 고통과 희생이 두렵다는 뜻

조막만한 손으로 ~ 발 구르는 당신 꽃이 피어나려는 순간을 열정적인 행동으로 표현함

 

3.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시적 화자인 '''당신'이라는 대상에 대해 말하는 방식으로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그런데 이 둘이 어떤 존재인지는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서, 둘의 관계에 대한 서술을 통해 미루어 짐작해 볼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시적 의미와 함께 그것이 상징하는 바가 드러난다.

먼저 당신은 추운 땅속을 헤맸던 적이 있고, 흙더미와 관련된다는 내용을 통해 그것의 속성이 식물과 관련됨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3연의 '당신은 지금 내 안에 있습니다.', 5연의 '절편보다 희고 고운 당신을 잎잎이 뱉아낼' 것이라는 표현은 당신과 ''의 속성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를 준다. '당신'은 꽃(꽃잎)이고, ''는 피어날 꽃을 품고 있는 껍질임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렇게 '''당신'의 속성을 확인해 나가는 과정이 시를 이해하는 데 가장 큰 몫을 한다.

당신()이 피어날 때 ''는 몸뚱이가 갈가리 찢어지게 된다는 것을 알기에 ''는 당신이 오는 게 두렵고, 당신을 보낼 일이 아득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는 당신이 반드시 올 것을 알고 있다. 계절 변화에 따라, 자연의 섭리에 따라 꽃이 피어나는 것이다. 생명이 탄생하는 것은 경이로운 사실이지만, ''가 당신을 위해 부서지고 무너지듯이 누군가의 희생이 필요한 것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생명의 탄생과 그를 위한 희생의 필요성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를 전해 준다.

 

4.활동하기

 

1. 작품의 화자 파악하기

이 시에서는 제목과 시구에서 당신의 속성이 식물과 관련됨을 짐작할 수 있다. “당신은 지금 내 안에 있습니다”(3)내게서 당신이 떠나갈 때면~갈가리 찢어지고”(4), “당신을 잎잎이, 뱉아낼 테지만”(5) 등에서 시적 화자인 는 당신을 감싸고 있지만 당신이 피어날 때 무너지고 부서져야 할 존재로 표현된다.

따라서 는 피어날 꽃을 품고 둘러싸고 있는 나무 또는 줄기임을 알 수 있다.

 

3. 제시 구절을 통해 작품의 시적 상황에 대한 당신의 태도 비교하기

나를 벗고 싶어 몸부림하지만

굳은 살가죽에 불 댕길 일 막막합니다.

당신

당신을 떠나보내야 하는 이별의 시간임.

온몸으로 고통을 느껴야 하는 괴로움의 시간임.

를 떠나가려 하고 있음.

꽃을 피우는 기쁨의 순간임.

 

 

한용운, ‘알 수 없어요

 

1.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명상적, 관조적, 구도적, 상징적

주제

절대적 존재에 대한 동경과 구도자로서의 의지

특징

1) 자연 현상을 통한 깨달음을 형상화하고 있음.

2) 경어체와 의문형 문장을 반복하여 사용하고 있음.

3) 역설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음.

4) 불교의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

5) 동일한 통사구조의 반복(A는 누구의 B입니까?)

6)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개(저녁)

 

2.시어 풀이

바람도 없는 공중에 ~ 누구의 발자최입니까 신비로운 자연을 통해 임의 의지를 드러냄.

수직(垂直)의 파문(波紋) 심안으로만 볼 수 있는 파장으로, 시인의 직관력이 돋보이는 표현.

떨어지는 오동잎 비극적 아름다움

누구의 발자최입니까. 오동잎에서 임의 발자취를 보는 것이니까, 자연과 님은 일치하여서 일체가 된다. 님의 발자취가 아닙니까?의 설의적 표현

누구 . 절대자.

지리한 장마 끝에 ~ 누구의 얼굴입니까. 침묵하는 님의 님. - 깨달음의 순간에 임의 신비한 모습을 인식함.

무서운 검은 구름 세속적 번뇌와 고통 - ‘푸른 하늘 같은 님의 얼굴을 깨닫게 하는 작용을 함

푸른 하늘 님의 오묘한 진리와 깨달음

꽃도 없는 깊은 나무 님의 입김은 꽃의 향기보다 더욱 향기로우니까, 꽃이 있을 필요가 없다

푸른 이끼 공간적인 확대

옛 탑() 시간적 확대

근원을 알지도 못할 ~ 누구의 노래입니까. 불도의 광대무변한 진리에 대한 감동과 인간의 한정된 세계 속으로 들어온 님의 모습.

근원 무한한 자연, 무상(無上)의 불도의 세계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 한정된 인간 세계로 들어온 불도의 시내’ - 6행의 약한 등불과 관계된다.

연꽃 같은 발꿈치로 ~ 누구의 시()입니까. 님의 아름다운 모습이 온 천지에 충만함을 노래함 - 아름다운 님의 모습은 사라지고 님의 시만 남음

연꽃 같은 발꿈치 아름다운 님의 모습

가이 없는 부처님의 법신(法身)이 충만한 상태

옥 같은 손 아름다운 님의 모습

끝없는 부처님의 법신(法身)이 충만한 상태

떨어지는 해 비극적 아름다움

저녁놀 절대자의 시이며, 더없이 아름답고 정화된 종교적·예술적 경지를 암시.

타고 남은 재가 ~ 약한 등불입니까. 화자의 끝없는 구도정신과 신앙적 고백이 나타남.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윤회사상. 부정을 통해 긍정에 이르는 불교적 변증법의 원리. 소멸해 버린 어떤 것의 소생에 대한 신념(소멸극복생성)

타고 남은 재 비생명, (), (), 소멸해 버린 것, 상실한 주권,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형이상학적 존재

기름 생명의 상태, (), 가치 있는 대상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님을 향한 사랑과 그리움을 잃지 않고 밤을 지켜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

님이 없는 상황의 어두움, 주권상실의 현실, 절대자가 불신받는 현실

약한 등불 자신을 무화(無化)시켜서 남을 존재하게 하는 거룩한 존재. 경건하고 절대적인 신앙의 등불. 조국의 재생을 기다리는 새벽을 위해서 타는 등불

 

3.시상의 흐름

 

 

1: 떨어지는 오동잎 = 님의 발자취

2: 푸른 하늘 = 님의 얼굴

3: 알 수 없는 향기 = 님의 입김

4: 작은 시내 = 님의 노래

5: 저녁놀 = 님의 시

6: 님을 향한 변함없는 정신(끝없는 구도정신과 신앙고백)

 

4. 활동하기

 

1. 작품에 그려진 누구의 모습 정리하기

당신의 발자취는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이다. 당신의 얼굴은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 하늘이, 당신의 입김은 탑 위를 스치는 알 수 없는 향기이다. 당신의 노래는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이고, 떨어지는 해를 곱게 단장하는 저녁놀은 당신이 써 내려가는 이다. 그러므로 당신은 에게 이 시에 그려진 자연의 모습처럼 아름답고 절대적인 존재이다.

 

2. 작품에 나타나는 표현상의 특징 알아보기

화자가 바라보는 세계의 비밀과 경이를 의문체로 서술하면서 경어체를 사용하여 절대 존재에 대한 외경심을 보이고 있다. 보이지 않는 절대자의 모습을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으로 형상화하면서 의인화하고, 시각적, 후각적, 청각적 이미지 등 다양한 감각적 심상을 구사하고 있다. 설의법적 표현을 통해 자신의 확신을 반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점도 표현상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