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1-[1] 문학의 수용
1)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관점
내재적 관점 |
의의 |
작품의 내용, 형식, 표현 등의 내적 요소로 접근 | |
핵심어 |
시-언어의 의미, 시적 화자, 어조, 이미지, 비유, 상징, 운율, 시상전개 소설- 인물, 사건, 배경, 시점, 구성, 문체 | ||
예 |
윤흥길의 ‘장마’는 초등학교 3학년인 어린 서술자의 순수한 시선을 통해 객관적으로 전쟁의 본질을 묻고 이데올로기의 파괴력을 고발하고 있다. | ||
외재적 관점 |
표현론 |
의의 |
작품과 작가의 생애를 연계하여 접근 |
핵심어 |
작가의 창작 의도, 성장 배경, 사상, 종교, 취미 | ||
예 |
박지원의 ‘허생전’은 중국의 선진 문명을 적극 수용할 것을 주장한 북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작가가 가졌던 물자의 활발한 유통과 외국과의 교역이라는 실학 사상을 허생이라는 인물을 통해 형상화하였다. | ||
반영론 |
의의 |
작품과 창작 당시의 사회, 문화, 역사적 배경을 연계하여 접근 | |
예 |
김유정의 ‘만무방’은 1930년대 농촌의 불합리한 소작농 제도로 인해 발생한 농촌 사회의 피폐와 타락을 ‘응오’라는 인물로 보여 주는 작품이다. | ||
효용론 |
의의 |
작품을 수용자 관점으로 접근 | |
핵심어 |
독자의 감동, 슬픔, 즐거움(정서적인 감흥) / 깨달음, 배움(가치) | ||
예 |
이청준의 ‘눈길’은 부모님에 대한 책임감을 외면해 온 독자에게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을 깨닫게 하고, 이를 외면하는 현대 사회의 자식들에게 부끄러움을 느끼게 한다. |
■ 나희덕, ‘뿌리에게’
1. 작품 개관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독백적, 회상적 |
주제 |
사랑과 희생으로 순환하는 삶의 가치, 생명의 탄생에서 성장까지 함께하는 희생적 사랑 |
특징 |
1)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며, 생명의 탄생과 성장의 과정을 나타냄. 2) ‘착한 그릇-껍데기-빈 그릇’ 등 흙의 변화를 통해 사랑과 생명의 순환 구조를 강화시킴. |
2.시어 풀이
◉ 밝은 피 ☞ 원관념은 흙속에 있는 '물'을 가리키며, '생명, 희생적 사랑'을 함축함
◉ 아, 나의 사랑 ☞ 원관념은 '뿌리'이며, '자식, 제자'등의 의미를 함축함.
◉ 먼 우물 ☞ 묽이 맑아 먹을 수 있는 우물물(반대말 : 누렁 우물)
◉ 착한 그릇 ☞ 흙에 대한 보조관념으로 쓰인 말 : 착한 그릇 → 껍데기 → 빈 그릇
◉ 어리석고도 은밀한 기쁨 ☞ 자식을 위해 아낌없이 사랑을 줌으로써 느끼는 기쁨
◉ 단단해지는 나의 살 ☞ 뿌리가 성장하면서 흙의 연한 본 바탕(기름진 상태)이 거칠어지고 척박해진 상태
◉ 마지막 잔 ☞ 생명과 몸을 다하면서 줄 수 있는 마지막 사랑
◉ 내 가슴에 끓어오르던 벌레들, ☞ 뿌리에게 줄 수 있는 영양분, 사랑.
◉ 너의 푸른 ~ 있을 테니. ☞ 뿌리가 성장해서 결실을 맺은 후에는 다시 연한 흙(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는 여건)으로 일구어짐.
3.활동하기
2. <보기> 글의 본문 내용과 세 가지 관점 연결하기
|보기| 이글턴에 의하면 ‘작품’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첫째 상상적인 글, 둘째 일상 언어의 특수한 변형, 셋째 독자가 그것에 자신을 관련시키는 어떤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첫째 관점은 작가의 창조적 상상력을 중시하는 입장인데, 작품이 과연 생활적 진실에 밀착된 것인가를 판별하는 일이 여기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관점은 작품을 언어의 특수한 조직으로 보는 태도이다. 셋째 관점은 작품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삶을 각성적으로 인식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 윤영천 등 저, “문학의 교육, 문학을 통한 교육” 중에서 |
: 첫째 관점은 작품을 작가와 연결하는 관점과 현실과 연결하는 관점이 통합되어 언급되고 있다. 작가와 그가 살아가는 생활이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중시하는 관점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관점은 작품을 언어의 구조물로 보고 내적인 요소를 토대로 수용하는 관점이다. 셋째 관점은 작품을 독자의 관점에서 받아들이는 것으로 작품의 의미를 독자가 자신의 삶으로 내면화하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