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1-[1] 한국 문학의 개념과 특질
I-1-[1] 한국 문학의 개념과 특질
■ 바리데기(교과서 16~19p)
1. 작품 개관
갈래 |
서사 무가 |
성격 |
서사적, 무속적, 신화적, 교훈적, 상징적 |
주제 |
바리데기가 지극한 효심으로 죽은 아버지를 살림. |
특징 |
1) 죽음을 주관하는 무조신의 유래를 밝히는 서사 무가임. 2) 한국 서사 문학의 한 특질인 영웅 설화적 구조를 지님. |
2. 핵심 정리
1) ‘바리데기’에 나타난 영웅의 일대기 구조 (앞 부분의 줄거리 포함)
고귀한 혈통과 비정상적 출생 |
아들을 원하는 불라국의 오귀 대왕과 길대 부인 사이에서 일곱 번째 딸로 태어남. |
버림을 받고 죽을 고비에 이름. |
아들을 원했던 오귀 대왕은 바리데기를 산 속에 버리라고 명함. |
조력자를 만남. |
산 속에 버려진 바리데기는 산신령의 보살핌으로 건강하게 자람. |
자라서 다시 위기에 처함. |
병에 걸린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서천 서역국으로 약물을 얻으러 떠남. |
위기를 극복하고 승리자가 됨. |
약물을 구하여 아버지를 살린 바리데기는 죽은 자들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신이 됨. |
2) ‘바리데기’에 드러난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전통과 특질 |
해당 장면 |
해학과 풍자 |
오귀 대왕을 보지 못하게 막던 문무백관과 언니들이 바리데기가 진언을 외자 바리데기에게 용서를 구하거나 도망을 가는 모습 |
죽음과 구원 |
병에 걸린 아버지를 살리는 바리데기의 모습 |
용서와 화해 |
자신을 버린 오귀 대왕을 위해 약수를 구해 온 바리데기와 바리데기가 낳은 자식을 받아들이는 오귀 대왕의 모습 |
3)바리데게가 진언하기 전후, 다른 인물들의 태도 변화
진언전 |
공주들과 사위들:모두 좋다고 흰가마에 타고 있다. 바리데게가 약물을 길어 왔다고 하지만 오히려 무시하며 내친다. |
진언 |
상여가 멈추고 상여를 매었던 사람들의 발도 딱 붙었다. |
진언후 |
공주들과 사위들:다 도망가 버렸다. 문무백관:체통도 잊은 채 읍하며 살려 달라고 애원한다. |
3. 활동하기
3)이 작품에서 서사 무가의 특징이 드러나는 부분을 찾아보자
* 다부사리 꽃으로 죽은 사람을 살리는 모습에서 서사 무가의 주술성을 확인할 수 있음.
* 말과 창으로 이루어진 모습에서 서사 무기의 구성 방식을 확인할 수 있음.